본문 바로가기
식물/제주도야생화

오름에서 만난 새끼노루귀와 흰괭이눈 (20170204)

by 청계 1 2017. 2. 24.




제주에서 2월초에 만난 새끼노루귀입니다.
새끼노루귀가 피었다는 소식을 접하고는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다가 마지막에 간 오름에서 새끼노루귀를 만났습니다.
핀지가 조금 되었는지 새끼노루귀는 꽃이 상한 편이었습니다.
비가 조금씩 내려서 꽃잎과 꽃대에 작은 물방울을 매달고 있었습니다.









정연옥 교수의 야생화백과사전 봄편에서 소개하는 새끼노루귀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른 봄 털옷 입고 나온 새끼노루귀는 잎이 마치 노루 귀처럼 생겼기 때문인데 사진 속의 잎처럼 약간 위로 말리고 흰 털이 나 있다.
여린 꽃잎이 추울지도 모르니까 보송보송한 털옷을 입은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노루귀는 눈과 얼음을 뚫고 나오는 풀이라고 해서 ‘파설초’라고 한다.
노루귀 종류는 우리나라에 3종이 자라고 있다.
노루귀와 새끼노루귀, 섬노루귀가 그것이다.
이중 새끼노루귀는 주로 섬 지방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며 비옥한 토질에서 잘 자란다.
키는 7~15㎝로 작은 편이며, 잎은 길이가 1~2㎝, 폭이 2~4㎝로 하트형을 이룬다.
모두 뿌리 부분에서 나오고 표면은 짙은 녹색에 흰색 무늬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흰색이며 잎이 나오기 전에 핀다.
그러나 분홍색이나 붉은 보라색 꽃을 피우는 것도 있다.
꽃의 길이는 긴 것은 7㎝ 정도이다.
꽃에 털이 있고 줄기 끝에 1개의 꽃이 위를 향해 핀다.
열매는 6~7월경에 긴 달걀 모양 또는 송곳 모양으로 뾰족하게 달리고, 종자는 껍질 속에 들어 있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애기노루귀라도 한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잎은 나물로도 무쳐먹는데, 쓴맛에 독성이 있으므로 뿌리를 제거하고 살짝 데친 다음 물에 담가 우려내야 한다.
또 한방에서는 노루귀를 장이세신이라는 약재로도 사용한다.
제주도, 거문도와 진도, 보길도 등의 섬 지방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종으로, 요즘에는 경기도 안산의 풍도에도 자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계곡의 비탈진 곳에는 흰괭이눈도 보입니다.
노란색 꽃잎 속에 노란 꽃술이 금이처럼 자리하고 있엇습니다.











정연옥 교수의 야생화백과사전 봄편에서 흰괭이눈에 대한 소개입니다.


식물을 보고 동물을 떠올리기란 그리 쉬운 발상은 아닐 것이다.
특히 전체적인 모양이 아니라 극히 일부만을 비유하기란 더욱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옛날 식물 이름을 지은 사람들은 정말 대단한 상상력을 가졌다.
혹시 천재들이 아니었을까?
괭이눈이 그렇다.
꽃이 핀 모습을 보고 고양이의 눈을 상상했다.
괭이눈 종류들은 대개 노란색 꽃을 피우는데, 흰괭이눈 하면 어쩐지 꽃이 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그러면 고양이 눈에 이상이 있는 것이니 괭이눈이라고 붙이지 않았을 것이다.
바로 꽃보다는 잎과 줄기에 힌트가 있다.
잎과 줄기에 흰털이 있어서 흰괭이눈이라고 한 것이다.
흰괭이눈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 산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반그늘이고 주변습도가 높은 곳에서 자라며, 키는 약 15㎝ 정도이다.
잎은 길이가 1~2.3㎝, 폭은 0.8~2㎝이고 표면은 털이 있으나 뒷면은 털이 없고 마주난다.
뿌리에서 옆으로 뻗는 줄기가 없고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진다.
원줄기 밑 부분에는 갈색 털이, 윗부분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꽃은 4~6월에 황록색으로 피는데, 길이는 약 0.3㎝, 폭이 약 0.2㎝이며 줄기 끝에 달린다.
열매는 7~8월경에 달리고 종자는 검은색이다.
범의귀과에 속하며, 큰괭이눈, 힌괭이눈, 흰털괭이눈이라고도 한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