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방망이 (20250402)
경남 창녕군의 무덤가에서 본 솜방망이입니다.
국명 : 솜방망이
학명 :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Tephroseris 솜방망이속
분포 : 전국
일본, 대만, 중국 동북지방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맺는다.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란다.
형태 : 전체에 거미줄 같은 솜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70cm다.
뿌리잎은 여러 장이 모여나며, 꽃이 필 때도 남아 있고, 타원형,
길이 5~10cm, 폭 1.5~2.5cm다.
줄기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며, 밑이 줄기를 조금 감싼다.
꽃은 머리모양꽃 3~9개가 산방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노란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2~5cm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3~4cm, 가장자리에 혀모양꽃이 있다.
총포는 통 모양이며, 길이 8mm쯤이다.
열매는 수과이다.
원통형, 털이 많다.
이용 및 활용 : 어린잎은 식용하며, 꽃은 약용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5년 4월 2일 경남 창녕군의 무덤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