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팔수입니다.
파란 잎 사이에 단풍이 든 잎이 섞여 있고 꽃도 특이하여 올려다보니 꽃술을 펼친 모습처럼 보였습니다.
식물명 : 담팔수
학명 :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Thunb.) H. Hara
분류 : 아욱목 > 담팔수과 > 담팔수속
분포 : 베트남, 태국, 중국 남부, 대만, 일본; 제주도 분포.
형태 : 상록 활엽 교목.
생육환경 : 해변과 북풍이 막힌 따뜻한 곳과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에서 생육한다.
내한성이 약하여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나 내공해성과 내병충해성은 강하다.
크기 : 높이 20m.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두꺼우며 거꿀피침형이고 무딘형 또는 첨두, 예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5 ~ 12(15)cm × 2 ~ 4cm로, 표면에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회녹색을 띠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 길이는 1.5 ~ 2cm이다.
꽃 : 총상꽃차례는 길이 5 ~ 10cm로 털이 있고, 전년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달리며, 암수한꽃으로 유백색의 꽃이 7월 중순에 피고,
꽃받침조각은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3 ~ 4mm이고 꽃잎은 5개로, 중앙까지 잘게 젖혀지며 길이는 4 ~ 5mm이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20 ~ 25mm로 흑벽색이고, 종자는 크고 겉에 주름이 지며 11월 중순에 성숙한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에 털 없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미끄러우며 내피에 탄닌이 함유되어 있다.
특징 : 우리 나라에 몇 그루밖에 없는 희귀목이므로 천연기념물(제163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수형이 우산모양으로 아름다우며 가을에 붉에 물드는 단풍 또한 아름답다.
촬영지 : 제주도 칠십리공원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19년 7월 14일 칠십리공원에서
'식물 > 제주도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박주가리 - 1100고지 휴게소에서 (20190715) (0) | 2019.10.29 |
---|---|
순비기나무 흰꽃 - 산방연대에서 (20190715) (0) | 2019.10.28 |
구슬꽃나무 외 - 제주의 계곡에서 (20190714) (0) | 2019.10.25 |
죽백란 (20190714) (0) | 2019.10.24 |
동백나무겨우살이 외 (20190714) (0) | 2019.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