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사찰 탐방191 공주 태화산 마곡사 3 (20241105) 공주 대화산 마곡사에 갔습니다. 11월 5일에 찾았는데 단풍은 조금 이른 편이었습니다. 두루 살피면서 한나절을 보냈습니다. 2024년 11월 5일 공주시 마곡사에서 2024. 12. 13. 공주 태화산 마곡사 2 (20241105) 공주 대화산 마곡사에 갔습니다. 11월 5일에 찾았는데 단풍은 조금 이른 편이었습니다. 두루 살피면서 한나절을 보냈습니다. 해탈문 앞에 구절초가 피어 있었습니다. 2024년 11월 5일 공주시 마곡사에서 2024. 12. 12. 공주 태화산 마곡사 (20241105) 공주 대화산 마곡사에 갔습니다. 11월 5일에 찾았는데 단풍은 조금 이른 편이었습니다. 두루 살피면서 한나절을 보냈습니다. 2024년 11월 5일 공주시 마곡사에서 2024. 12. 11. 문경 윤필암 (20241005) 경상북도 문경시 근교의 야산에 자리한 윤필암입니다. 사불전에서 본 앞산과 전각들입니다. 2024년 10월 5일 경북 문경시 근교의 사찰에서 2024. 12. 6. 강진 무위사 (20240927) 강진 무위사에 갔습니다. 일주문으로 가는 길가에 꽃무릇이 곱게 피었습니다. 극락보전이 국보입니다.극락보전 뒤로 하늘이 참 좋습니다. 극락보전 앞의 뜰에 아람들이 나무도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었습니다. 2024년 9월 27일 전남 강진 무위사에서 2024. 12. 5. 김해 장유사 (20240714) 불모산에 자리한 장유사입니다. 안개가 낀 날에 사찰을 찾았습니다. 2024년 7월 14일 경남 김해시 장유사에서 2024. 11. 19. 청도 적천사 (20231109) 수령이 오래된 은행나무가 있어 많이 알려진 청도의 적천사에 갔습니다. 전각이 그리 맍지가 않은 고즈녁한 사찰이었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사기(寺記)에 의하면, 664년(문무왕 4) 원효(元曉)가 수도하기 위해 토굴을 지음으로써 창건되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입구에 있는 천왕문(天王門)을 들어서서 조계문(曹溪門)을 지나면 중앙에 남향한 유형문화재 제473호 대웅전(大雄殿)이 있고, 그 좌우에 적묵당(寂默堂)과 명부전(冥府殿)이 있으며, 대웅전 뒤쪽으로 좌우에 조사전(祖師殿)과 영산전(靈山殿)이 있다. 그 밖에 요사채와 부목방 등이 있다. 절앞에는 보조국사가 심었다는 천연기념물 제402호 은행나무가 있다. 2023년 11월 9일 경북 청도군 적천사에서 2023. 11. 13. 구례 화엄사 (20230526) 사월 초파일을 하루 앞두고 화엄사를 갔습니다. 분잡함을 피하려고 하루 앞에 갔는데 날이 흐려서 멋진 전각들이 무거움을 잡고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일주문입니다. 일주문을 들어서니 금강문을 가는 길에 불견, 불문, 불언의 상이 차례대로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금강문을 지나서 천왕문으로 올라갔습니다. 초파일을 앞두고 있어서 통로에도 연등이 걸렸습니다. 천왕문을 지나니 돌계단이 있습니다. 돌게단을 오르니 루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보제루입니다. 옆에는 사물이 달린 전각이 하늘 높이 처마를 뻗치고 있습니다. 보제루에서 부터 화엄사의 중심 영역이라고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보제루를 돌아가니 각황전과 대웅전이 직각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돌로 만든 연잎이 대웅전으로 이도 하고 있습니다. 대웅전 앞에는 연등이 가득 달려.. 2023. 11. 11. 가야산 해인사 (20221123) 합천군 가야산에 자리한 해인사입니다. 전각들을 돌아보면서 우리의 사찰 건물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느꼈습니다. 구광루 앞에서 본 전각들입니다. 대적광전 앞에서 본 전각과 석탑, 석등입니다. 대적광전은 4면에 다 현판을 달고 있었습니다. 학사대를 돌아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곳도 둘러보았습니다. 2022년 11월 23일 경남 합천군 가야산 해인사에서 2022. 12. 9. 이전 1 2 3 4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