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의 식물원에서 본 광릉요강꽃입니다.
야생에서 한 촉도 만나기가 어려운 꽃이라 보고싶어 하였는데
식물원에서 군락을 이룬 모습을 보아서 감동이었습니다.
국명 : 광릉요강꽃
학명 : Cypripedium japonicum Thunb.
국명이명 : 광릉복주머니란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복주머니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분포 : 국내에서는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서 소수 집단만이 확인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대만에 분포한다.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해발 300~1,100m 산지의 양지바르고 배수가 양호한 숲속에 살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이 발달하고 관목층은 성글게 발달하는 곳에서 주로 발견된다.
지하부가 잠복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으며 지상에서 관찰되는 개체 수는 매년 변동한다.
형태 : 높이 40cm까지 자란다.
옆으로 뻗는 땅속줄기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원줄기는 높이 20~40cm로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 2개의 큰 잎이 마주난 것처럼
원줄기를 완전히 감싸 사방으로 퍼지고 지름이 10~22cm이다.
4~5월경에 흰 바탕에 홍색 꽃이 줄기 끝에 1개씩 아래를 향해 핀다.
꽃의 지름은 8cm 정도이다.
꽃자루는 길이 15cm 정도로 털이 많으며 윗부분에 잎 같은 포가 1개 달린다.
열매는 삭과이다.
해설 : 자연적인 결실률이 매우 낮고 야생동물 섭식으로 인한 개체군 훼손이 관찰되는 등
성숙한 개체 수의 변동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관상을 목적으로 한 무분별한 채취 위협에도 직면해 있다.
일부 개체군은 주변에 철책을 설치하여 무분별한 채취로부터 보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022년 5월 1일 충남의 식물원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지구엽초 (20220501) (0) | 2022.06.14 |
---|---|
꽃장포 (20220501) (0) | 2022.06.13 |
대극 (20220501) (0) | 2022.06.13 |
매발톱 (20220501) (0) | 2022.06.13 |
왜미나리아재비 (20220428) (0) | 202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