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영월군의 야산에서 본 뻐꾹채입니다.
국명 : 빠꾹채
학명 : Rhaponticum uniflorum (L.) DC.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뻐꾹채속
분포 : 전국
중국, 몽골, 러시아.
생태 : 6~8월에 꽃이 핀다.
주로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곳에 자란다.
형태 : 전체에 흰 솜털이 빽빽하게 덮인다.
뿌리줄기는 밑으로 곧게 뻗으며, 지름 1cm 이상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70cm다.
잎은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는 홑잎, 갈래가 6~8쌍이다.
뿌리잎은 길이 15~30cm, 폭 4~7cm이며, 밑이 날개 모양으로 넓어져 잎자루까지 이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위로 갈수록 작고 잎자루가 없어진다.
꽃은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며, 붉은 보라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6~9cm다.
모인꽃싸개조각은 6줄로 배열한다.
꽃은 모두 관모양꽃이며, 관모양꽃은 길이 2~3cm다.
화관은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수과이며, 긴 타원형, 능선이 4개 있다.
이용 및 활용 : 어린잎을 식용 및 약용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2년 5월 21일 강원도 야산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지연잎꿩의다리 (20220521) (0) | 2022.07.17 |
---|---|
두메애기풀 (20220521) (0) | 2022.07.17 |
흰골무꽃 (20220519) (0) | 2022.07.14 |
쥐꼬리풀 (20220519) (0) | 2022.07.14 |
대성쓴풀 (20220517) (7)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