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의 야산에서 본 흰가시광대버섯입니다.
버섯명 : 흰가시광대버섯
학명 : Amanita virgineoides Bas 1969
분류 : 담자균문 > 주름버섯강 > 주름버섯목 > 광대버섯과 > 광대버섯속
분포 :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
일본, 중국 등 극동아시아
생태 : 이 균은 비교적 자실체가 크며, 전체가 백색이며,
침엽수림, 활엽수림 또는 혼합림 내 지상에 여름~가을에 발생하는 공생균이다.
형태 : 갓은 40~90mm로 반반구형~편평형이며 표면은 건성이고, 백색이며,
분질~원추상의 돌기(외피막의 파편)가 있으나 쉽게 탈락한다.
갓 끝에 내피막의 잔유물이 부착되어 있다.
조직은 백색이고, 건조하면 강한 냄새가 난다.
주름살날은 미분상이다.
대는 하부쪽이 곤봉상(30~50mm)이며, 표면에 면모상~세돌기가 밀포되어 있고,
팽대 부위에 돌기가 륜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턱받이는 면모상~막질이고, 대상단부에 부착. 포자는 8~10×6~7μm로 광타원형이고, 아밀로이드이다.
해설 : 식용가능버섯으로서 분포지역이 한국, 일본, 중국 등 극동아시아로 제한되어 있어
생물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있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2년 8월 4일 충남 금산군의 야산에서
'식물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맑은애주름버섯 (20220917) (0) | 2022.12.20 |
---|---|
말불버섯 (20220917) (0) | 2022.12.20 |
노랑망태버섯 (20220719) (0) | 2022.09.16 |
망태말뚝버섯 (20220719) (0) | 2022.09.16 |
달걀버섯 (20210827) (0) | 2021.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