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본 기생여뀌입니다.
국명 : 기생여뀌
학명 : Persicaria viscosa (Buch.?Ham. ex D. Don) H. Gross ex T. Mor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여뀌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세계적으로 중국, 인도, 네팔, 일본, 러시아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숲 가장자리, 산지의 사면, 시냇가, 늪지대 연못이나 습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40~120cm이고 갈색의 긴 털과 대가 있는 샘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고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7~15cm, 폭 1.5~4cm이며, 양 끝이 좁다.
잎 양면에 샘점이 있다.
턱잎은 잎집 같으며, 길이 7~15mm로서 털이 있고 원통 모양이다.
꽃은 6~9월에 홍자색으로 핀다.
수상꽃차례는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길이 3~5cm이다.
화피는 길이 2~3mm이고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8개이고 화피보다 짧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씨방은 세모가 진다.
열매는 수과이고 세모진 난상 원형으로 길이 2.5~3mm이며, 흑갈색, 다소 윤채가 있고 향기가 난다.
이용 및 활용 : 신생약으로 개발할 잠재성이 높다.
해설 : 이 종은 줄기와 꽃차례에 자루가 있는 샘털이 빽빽하게 나고, 꽃잎이 짙은 붉은색을 띠나
끈끈이여뀌와 큰끈끈이여뀌는 납작한 방패 모양의 샘털이 분포하고 꽃잎이 초록색을 띠어서 뚜렷이 구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2년 9월 1일 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곡정초 (20220901) (0) | 2022.11.27 |
---|---|
금불초 (20220901) (0) | 2022.11.27 |
부전제비고깔 (20220826) (0) | 2022.11.25 |
주름조개풀 (20220826) (0) | 2022.11.25 |
털이슬 (20220826) (0) | 2022.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