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본 흰꽃좀닭의장풀입니다.
국명 : 흰꽃좀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coreana f. leucanth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닭의장풀목 > 닭의장풀과 > 닭의장풀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도, 전라남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생태 : 산, 들, 모래땅, 습지 및 초원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5~50c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삭과이다.
형태 : 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곧추서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가지가 땅에 닿으면 뿌리가 돋기도 한다.
잎은 좁고 하면에 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3~10cm, 너비 1cm 정도의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아랫부분은 둥글며 갑자기 좁아져서 막질의 잎집과 이어지고
윗면은 녹색이며 털이 없고 아랫면은 백록색이며 털이 있다.
꽃싸개잎은 잎 모양이고 접혀서 포개진 조개껍질 같으며 겉에 9~10개의 맥이 있고,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꽃싸개잎 안에서 발달하여 밖으로 나오며 흰색이다.
꽃잎은 3개이다.
수술은 3개이고 헛수술은 3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타원형이며 육질이지만 마르면 3개로 갈라져서 종자가 나온다.
종자로 번식한다.
이용 및 활용 :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 또는 약용한다.
해설 : 닭의장풀 및 좀닭의장풀과 비슷하지만 잎이 좁고 아랫면에 털이 있으며 꽃이 흰색인 점이 다르다.
가는잎흰달개비라고도 부른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2년 9월 1일 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뻐꾹나리 흰꽃 (20220904) (2) | 2022.12.04 |
---|---|
뻐꾹나리 (20220904) (0) | 2022.12.04 |
큰엉겅퀴 (20220901) (0) | 2022.12.02 |
통발 (20220901) (0) | 2022.12.02 |
질경이택사 (20220901)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