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천시 근교의 풀밭 울타리에서 본 푼지나무입니다.
국명 : 푼지나무
학명 : Celastrus flagellaris Rupr.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Celastrales 노박덩굴목 > Celastraceae 노박덩굴과 > Celastrus 노박덩굴속
분포 : 전국
러시아(아무르), 일본, 중국(동북부)
생태 : 덩굴성 낙엽 떨기나무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형태 : 공중뿌리는 바위나 나무에 붙어 기어오르고 땅위를 기면서 자라기도 한다.
가지는 적갈색이다.
턱잎은 작고 가시 모양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2.5~8cm, 폭 2~4cm, 밑은 편평하거나 둥근 모양이고,
끝은 급하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는 잔 톱니 모양이다.
잎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잎맥을 따라 짧은 털이 있다.
꽃은 단성이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취산꽃차례에 1~3개가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꽃잎은 주걱 모양이고 연한 녹황색이다.
열매는 삭과, 구형, 익으면 3조각으로 갈라져서 터진다.
이용 및 활용 : 어린잎을 식용한다.
해설 : 노박덩굴에 비해 기근(공중뿌리)이 있고, 턱잎이 짧은 가시 모양으로 되어 떨어지지 않으며, 잎이 보다 작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3년 4월 22일 경북 영천시 근교의 풀밭에서
'식물 > 들꽃(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엽수 (20230502) (0) | 2023.06.01 |
---|---|
뽕나무 (20230423) (0) | 2023.05.18 |
등칡 (20230413) (15) | 2023.05.08 |
으름덩굴 (20230413) (0) | 2023.05.08 |
섬국수나무 (20230331) (13) | 202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