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의 높은 산에서 본 천마괭이눈입니다.

국명 : 천마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Chrysosplenium 괭이눈속
분포 :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남부, 중국 만주 남부, 중국 북부 및 중부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 계곡 중상류 주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6월에 핀다.
형태 : 꽃줄기의 밑부분에 달린 잎의 잎겨드랑이에서 무성지가 1-2쌍 발달한다.
무성지는 자줏빛이 돌며, 위로 갈수록 마디가 짧다.
무성지의 잎은 위로 갈수록 크다.
잎 앞면은 흰색 털이 조금 나며, 뒷면은 털이 거의 없다.
잎자루와 무성지에는 긴 털이 있으며, 여름철이 되면 털이 더 많아진다.
꽃줄기는 높이 5-15cm이며, 자줏빛이 돌고, 마주나는 잎이 1-2쌍 달린다.
꽃싸개잎은 꽃밥이 터질 때 노란색을 띠다가 수정이 끝나면 녹색으로 변한다.
꽃은 취산꽃차례로 피며, 지름 2.0-2.5mm이다.
꽃받침잎은 꽃잎처럼 보이며, 꽃밥이 터질 때 수직으로 선다.
수술은 8개, 꽃밥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2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뿔 모양이다.
이용 및 활용 : 관상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해설 : 이 종은 종자 표면에 작은 돌기는 있으나 이들이 모여 능선을 이루지 않으며,
꽃싸개잎이 꽃이 필 때 밝은 노란색으로 변하므로 큰괭이눈과 구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 디지털 정보 구축 및 관리(2022년)











2023년 4월 27일 강원도 태백시의 높은 산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기괭이밥 (20230427) (11) | 2023.05.29 |
---|---|
큰괭이밥 (20230427) (0) | 2023.05.29 |
왜제비꽃 흰꽃 (20230427) (10) | 2023.05.28 |
제주제비꽃 (20230427) (0) | 2023.05.28 |
붉은참반디 (20230427) (0) | 2023.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