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근교의 야산에서 본 으름덩굴입니다.
국명 : 으름덩굴
학명 : Akebia quinata (Houtt.) Decne.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으름덩굴과 > Akebia 으름덩굴속
분포 : 황해도 이남
일본, 중국
생태 : 낙엽 덩굴나무로 꽃은 4~5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숲속 또는 숲 가장자리에서 다른 나무를 기어오르며 자란다.
형태 : 줄기는 길이 10~20m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5장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cm, 폭 1~2cm,
끝이 오목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노란빛이 도는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꽃잎처럼 보이며, 3장이다.
수꽃은 꽃차례 위쪽에 달리며, 수술 6개가 서로 떨어져 있다.
암꽃은 수꽃보다 크고, 꽃차례 아래쪽에 달리며, 기둥 모양의 암술대가 3~6개 있다.
열매는 장과,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cm쯤이고, 익으면 한쪽이 세로로 벌어진다.
이용 및 활용 : 열매는 식용 또는 약용한다.
해설 : 멀꿀에 비해 상록성이 아니며, 열매는 길이 10cm의 긴 타원형이고 완
전히 익으면 벌어지므로 구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4년 4월 5일 경남 창원시 근교의 야산에서
'식물 > 들꽃(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랑버들 (20240406) (57) | 2024.05.12 |
---|---|
청미래덩굴 (20240405) (0) | 2024.05.06 |
까마귀밥나무 (20240402) (49) | 2024.05.03 |
능수벚나무 (20240402) (0) | 2024.05.03 |
자주목련 (20240402) (0) | 202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