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군위군의 높은산에서 본 꼬리말발도리입니다.
국명 : 꼬리말발도리
학명 : Deutzia paniculat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Saxifragaceae 범의귀과 > Deutzia 말발도리속
분포 : 우리나라 함경남도, 경상남·북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생태 : 계곡이나 산기슭의 바위틈에 높이는 2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형태 : 가지는 마주나며, 햇가지는 적갈색으로 털이 거의 없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7~10cm, 나비 3~4cm이며, 타원형 또는 광타원형이며,
끝과 아래쪽은 뾰족하다.
잎 위쪽은 초록색으로 3~5갈래로 갈라진 별처럼 생긴 털들이 달리나,
잎 아래쪽은 연한 초록색으로 4갈래로 갈라진 털들이 달리거나 달리지 않는다.
잎자루는 길이 0.6~0.9cm이며, 5갈래로 갈라진 별처럼 생긴 털들이 달린다.
꽃은 4~6월에 햇가지의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발달한 가지의 끝에
원추꽃차례로 모여 달린다.
꽃자루에는 털이 없으나, 작은 꽃자루에는 8~9갈래로 갈라진 털들이 달린다.
꽃잎은 길이 0.5~0.6cm, 나비 0.2~0.3cm 정도의 혀 모양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 삼각형이며, 6~8갈래로 갈라진 별처럼 생긴 털들이 달린다.
수술대에 있는 톱니는 수술대 아래에서 조금 발달한다.
암술대는 3개이며, 아래쪽에는 9갈래로 갈라진 별처럼 생긴 털들이 달린다.
열매는 원통형의 삭과로 9월경에 익는다.
해설 : 국내에 분포하는 말발도리속 식물 중에서
원추꽃차례를 형성하는 점에서 뚜렷하게 구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4년 6월 1일 대구시 군위군의 높은 산에서
'식물 > 들꽃(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멍덕딸기 (20240601) (0) | 2024.08.03 |
---|---|
곰딸기 (20240601) (0) | 2024.08.03 |
고광나무 (20240601) (0) | 2024.08.02 |
참조팝나무 (20240601) (0) | 2024.08.01 |
꽝꽝나무 (20240530) (0) | 202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