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양구군 국립DMZ자생식물원에서 본 산국수나무입니다.

국명 : 산국수나무
학명 : Physocarpus amurensis (Maxim.) Maxi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Rosaceae 장미과 > Physocarpus 산국수나무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도 및 북부지방 양강도, 함경북도 등에 나며,
러시아 극동, 중국 허베이 성, 헤이룽장 성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석회암지대의 높은 산 바위지대에서 높이 2~3m가량 매우 드물게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형태 :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심장상 원형으로 길이 5~10cm, 손바닥 모양으로 3~5갈래로 갈라진다.
잎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5~3.5cm이다.
꽃은 6~7월에 산방꽃차례로 피며, 흰색, 지름 0.8~1.5cm이다.
꽃차례는 지름 3~4cm이다.
꽃받침조각에 털이 난다.
수술은 자주색이다.
열매는 골돌이며, 양쪽으로 터진다.
이용 및 활용 : 관상용으로 심는다.
해설 : 이 종은 국수나무속에 비해 골돌과가 양쪽으로 터지며,
섬국수나무에 비해서 잎자루가 길고 잎이 3~5개로 갈라진 손바닥 모양이므로 구별된다.
세계적인 희귀식물로서 학술연구의 중요한 재료가 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4년 6월 4일 강원도 양구군 국립DMZ자생식물원에서
'식물 > 들꽃(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열귀나무 (20240604) (0) | 2025.02.20 |
---|---|
버들개회나무 (20240604) (0) | 2025.02.20 |
나도국수나무 (20240604) (0) | 2025.02.19 |
구슬댕댕이 (20240604) (0) | 2025.02.19 |
갈기조팝나무 (20240604) (18)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