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나물입니다.
무덤가 잔디밭에서 보았습니다.
크기가 너무 작아 앙증스러운 모습이었습니다.
대정초(大丁草), 솜나무, 부싯깃나무, 까치취라고도 함.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숲속 양지 바른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꽃피는 시기는 4~9월로 비교적 길며, 가을에 꽃피는 개체는 봄에 피는 개체보다 전체적으로 크기가 크다.
봄에 나오는 개체는 키가 5~20㎝ 정도이고 뿌리에서 나오는 잎의 모양이 3각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는 것에 비해,
가을에 나오는 개체는 키가 60㎝에 달하고 뿌리에서 나는 잎은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무잎처럼 갈라져 있다.
잎의 뒷면은 흰색 털이 밀생한다.
흰색 또는 담자색의 지름 15㎜ 정도이며 5~9월에 꽃은 꽃줄기 끝에 1개씩 핀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방추형이며, 흰색의 관모(冠毛)를 가진다.
열매를 부싯돌에 얹어 담뱃불을 붙이기도 하여 부싯깃나무라고도 하며, 잎에 흰섬유와 같은 털이 밀생하여 이불솜을 뒤집어쓴 듯하므로 솜나물이라 하는 것 같다.
중국·소련·일본에도 분포하는 이 풀은 약효도 독도 없으며, 어린순은 봄에 나물로 먹는다.
관상용으로도 심으며, 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한다.
-다음 브리태니커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괭이밥(20140318) (0) | 2014.04.06 |
---|---|
흰괭이눈(20140318) (0) | 2014.04.06 |
만주바람꽃(20140318) (0) | 2014.04.04 |
중의무릇(20140317) (0) | 2014.04.03 |
흰괭이눈(20140317) (0) | 201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