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의 사찰 옆 숲에서 본 추분취입니다.
수정난풀을 찾으러 가다가 길가 나무 아래에서 꽃을 피운 추분취를 만났습니다.
9월초의 제주에는 추분취가 곳곳에서 한창이었습니다.
식물명 : 추분취
학명 : Rhynchospermum verticillatum Reinw.
분류 : 국화과 추분취속
분포 : 제주도 한라산 자생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태 :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는 50-100㎝이다.
잎 : 근생엽은 개화기에 없어지고 밑부분의 잎은 거꿀피침모양 또는 긴 타원상 거꿀피침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7-15㎝, 나비 17-32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되며 윗부분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다소 있다.
중앙부의 잎은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위로 가면서 점차 작아진다.
꽃 : 꽃은 8-10월에 피며 백색이고 잎겨드랑이의 일년생가지 끝에 달리며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4-5㎜이다.
총포는 넓은 종형이고 길이 2.5mm, 지름 3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같지 않으며 외편이 가장 짧고 모두 끝이 둔하며 막질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다소 있으며 주맥이 녹색이다.
열매 : 수과는 부리가 있으나 양성꽃의 것은 없고 납작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4mm, 나비 1mm정도로서 선점이 있고 관모는 없거나 털같은 것이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이고 털이 다소 있으며 가지가 벌어진다.
촬영지 : 제주도 법정사에서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제주의 숲에서 본 으름난초입니다.
수정난풀을 찾으러 간 곳에서 씨를 맺고 있는 으름난초를 만났습니다.
식물명 : 으름난초
학명 : Galeola septentrionalis Rchb.f.
분류 : 난초과 으름난초속
분포 : 일본, 중국 / 한국(충청남도 태안군; 전라북도 진안군; 전라남도 보성군, 영암군; 제주도)
형태 : 여러해살이풀, 부생란.
생육환경 : 숲속에서 자라고 썩은 균사에 기생하는 식물이다.
크기 : 높이 50-100㎝
잎 : 잎은 삼각형으로서 뒷면이 부풀고 마르면 가죽같이 된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황갈색이고 씨방과 꽃받침 뒷면에 갈색 털이 있으며 꽃받침조각은 길이 15-20mm, 나비 4-6mm로서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꽃받침조각과 비슷하며 다소 짧고 털이 없다.
입술모양꽃부리는 황색이며 육질이고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안쪽에 돌기가 있는 줄이 있고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진다.
암술대는 약간 길게 굽는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6-8㎝로서 육질이고 적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로서 곧게 서며 육질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갈색 짧은 털이 밀생한다.
엽록소가 없다.
뿌리 : 근경은 육질이며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고 비늘같은 잎이 달리며 길게 뻗는 뿌리속에 Armillaria 라는 버섯의 균사가 들어있다.
특징 : 전국적으로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매우 적다.
썩은 균사에 기생하는 식물로서 녹색인 것이 없다.
유래 : 으름같은 열매가 열리기 때문에 으름난초라고 한다.
촬영지 : 제주도 법정사에서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제주의 숲에서 본 일엽초입니다.
나무에 붙어서 자라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일엽초
학명 : 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분류 : 고사리목 > 잔고사리과 > 일엽초속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인도,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제주, 전남, 전북(덕유산), 경남, 경북(울릉도), 강원도(설악산)에 야생한다.
형태 : 상록다년초, 양치식물
생육환경 : 바위 위, 나무 껍질 위에 난다.
크기 : 길이 10~30cm.
잎 : 잎은 마디사이가 짧은 근경에서 나오므로 모여나기한 것같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선형으로서 두꺼운 가죽질이고
밑은 좁아져 짧은 대로 되며 끝은 뾰족하고 길이 10~30cm, 나비 5~10mm정도이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으로 조그만 구멍으로 된 점이 산포되어 있고 잎 뒷면은 엷은 녹색이며 잎맥이 뚜렷하다.
중맥은 뚜렷하게 볼록 튀어나왔고 지맥 및 가는맥은 잎살 속에 묻혀 있다.
잎이 마르면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열매 : 포자낭군은 둥글며 뒷면 상반부 주맥 양측에 1줄로 나란히 나고 황색이며 포막은 없다.
뿌리 : 근경은 약간 거칠고 크며 옆으로 뻗고 지름 2-3mm이며 때로 가지가 갈라지고 겉에 비늘조각이 있다.
비늘조각은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고 투명한 것과 검고 투명하지 않은 것이 있다.
촬영지 : 제주도 법정사에서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제주의 사찰 옆 숲에서 본 수정난풀입니다.
9월초에 찾은 제주는 숲속 곳곳에서 수정난풀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식물명 : 수정난풀
학명 : Monotropa uniflora L.
분류 : 진달래목 > 노루발과 > 수정난풀속
분포 : 동아시아, 인도, 미국 / 한국(전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 , 부생식물.
생육환경 : 숲속 부식질이 많고 습윤한 곳.
크기 : 높이가 10-20cm정도로 자란다.
잎 : 비늘같이 퇴화된 잎이 어긋나기한다.
비늘조각은 긴 타원형, 좁은 달걀모양 또는 삼각상 달걀모양이고 길이 7-20mm, 나비 5-10mm로서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약간 톱니가 지지도 한다.
꽃 : 꽃은 7월에 피며 길이 1.5-2.5cm, 폭 1.4-1.8cm로서 종형이고 흰색이며 줄기 끝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리고
꽃받침조각은 1-3개이며 비늘잎과 비슷하고긴 타원형이며
꽃잎은 3-5개이고 쐐기같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2cm, 폭 5-10mm로서 끝이 둥글고 안쪽에 털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보다 짧고 꽃밥은 등홍색이며 잔돌기가 있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씨방은 병모양으로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는 넓어졌다.
열매 : 장과는 난상 구형으로서 길이 2.5cm, 폭 2cm 가량이고 털이 없으며 끝에 굵고 짧은 암술대가 있다.
종자는 타원형으로 길이 0.5-1mm, 폭 0.5-1mm이며 8-9월에 익는다.
줄기 : 높이 10-20cm이고 줄기는 여러대가 모여나기하며 뿌리 이외에는 순백색이고 윗부분에 흔히 긴 털이 있다.
뿌리 : 뿌리와 근경은 갈색의 덩이로 뭉친다.
유사종 : 구상난풀 : 높이 20cm, 줄기는 밀생, 다육성, 원기둥 모양, 잔털이 있다. 꽃은 황백색, 총상꽃차례로 밑을 향한다.
특징 : 세계에 3-4종, 우리 나라에는 2종이 분포한다. 썩은 나무에 붙어 살고, 엽록소가 없는 식물이다.
촬영지 : 제주도 법정사에서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18년 9월 5일 제주 법정사에서
'식물 > 제주도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주란 외 (20180906) (0) | 2018.10.08 |
---|---|
전주물꼬리풀 외 (20180905) (0) | 2018.10.08 |
양하 외 (20180905) (0) | 2018.10.05 |
흑박주가리 (20180905) (0) | 2018.10.04 |
흰층꽃나무 외 (20180905) (0) | 201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