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066

흰얼레지 (20210319) 2021년 봄에 통영 근교의 야산에서 본 흰얼레지입니다. 분홍색 꽃을 피운 얼레지들이 지천으로 핀 곳에 흰색 꽃을 피운 흰얼레지는 청초함이 돋보이는 모습이었습니다. 고운 모습을 만나서 함께 한 시간이 너무 행복하였습니다. 올해도 고운 모습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식물명 : 흰얼레지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f. album T.B.Lee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얼레지속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제주 제외) 일본, 만주, 사할린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중의 비옥한 땅 크기 : 높이 20~25cm이다. 잎 : 잎은 좁은 달걀모양 또는 장 타원형으로 길이 6~12cm, 나비 2.5~5cm이며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표면은.. 2022. 1. 6.
흰현호색 (20210319) 2021년 봄에 통영 근교의 야산에서 본 흰현호색입니다. 흰색으로 피어난 흰현호색은 무척 깨끗한 모습이었습니다. 식물명 : 흰현호색 학명 : Corydalis albipetala B. U. Oh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양귀비목 > 현호색과 > 현호색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도 오대산, 설악산 등지에서 자라는 한국 고유종이다. 생태 : 산지 숲속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땅속줄기는 가늘고 길며 밑에 내부가 흰색인 구형의 덩이줄기가 달린다. 비늘모양잎은 1개로 길이 1~1.8cm다. 줄기는 비스듬하게 기운다. 잎은 2장이며 각각 2회 3출엽이다. 작은잎은 도란형으로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불규칙하게 깊이 갈라진다. 꽃은 3~4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 2022. 1. 6.
흰괭이눈 (20210319) 2021년 봄에 얼레지를 찾으러 가서 본 흰괭이눈입니다. 돌 주변으로 무리로 자라면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흰괭이눈 학명 :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N.Terracc.) H. Hara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분포 : 제주, 전남(백양산, 남해도), 경남(지리산), 경기(광릉), 강원(금강산), 함남북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의 물가나 습지 크기 : 높이 3~9cm 정도이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둥글거나 선형이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다소 절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뒷면은 털이 없고 엽신은 길이 1~2.3cm, 폭 0.8~2cm이다. 뿌리에서 옆으로.. 2022. 1. 6.
미꾸라지를 문 따오기 - 우포 (20211208) 따오기 복원 센터에 있는 논에서 있던 따오기가 날아올랐습니다. 부리에 미꾸라지를 물고 있습니다. 물밖에 나와서 미꾸라지를 삼키려고 하는 것 같았습니다. 2021년 12월 8일 경남 창녕 우포에서 2022. 1. 6.
따오기 - 우포 (20211208) 창녕 우포에서 본 따오기입니다. 따오기 복원 센터 옆의 물이 든 논에서 따오기들이 먹이를 구하려고 애를 씁니다. 2021년 12월 8일 경남 창녕 우포에서 2022. 1. 6.
기러기 - 우포 (20211208) 창녕 우포에서 본 기러기들입니다. 물에서 유영을 하다가 모여서 쉬기도 합니다. 물에서 놀다가 날아오르기도 합니다. 2021년 12월 8일 경남 창녕 우포에서 2022.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