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대나물46

광대나물 흰꽃 (20240412) 경남 창원시 근교의 묵은 밭에서 본 흰색 꽃을 피운 광대나물입니다. 국명 : 광대나물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mium 광대나물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 2024. 5. 25.
광대나물 (20240412) 경남 창원시 근교의 묵은 밭에서 본 광대나물입니다. 국명 : 광대나물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mium 광대나물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 2024. 5. 25.
광대나물 흰꽃 (20240322) 경남 창원시 근교의 바닷가 야산 자락에서 본 흰색의 꽃을 피운 광대나물입니다. 국명 : 광대나물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mium 광대나물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의 것은 원형으로 지름 1~2cm, 잎자.. 2024. 4. 16.
광대나물 (20240322) 경남 창원시 근교의 바닷가 야산 자락에서 본 광대나물입니다. 국명 : 광대나물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mium 광대나물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의 것은 원형으로 지름 1~2cm, 잎자루가 길다. 위쪽 .. 2024. 4. 16.
광대나물 (20230329) 경남 함안군의 야산 고분에서 본 광대나물입니다. 무리를 지어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광대나물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mium 광대나물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의 것.. 2023. 4. 12.
광대나물 (20230310) 경남 창원시 근교의 강변 둑에서 본 광대나물입니다. 흰색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국명 : 광대나물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mium 광대나물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의 것은.. 2023. 3. 26.
광대나물 (20230201) 창원시의 야산 자락에서 본 광대나물입니다. 2월 1일에 보았습니다. 국명 : 광대나물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분류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mium 광대나물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 2023. 2. 26.
광대나물 흰꽃 (20220408) 전남 무안군의 밭에서 본 광대나물입니다. 도로변의 묵은 밭에 광대나물이 지천으로 피었습니다. 흰꽃을 피운 광대나물도 많았습니다. 작은 꽃도 무리지어 피니 그 모습이 장관이었습니다. 국명 : 광대나물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광대나물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 2022. 5. 15.
광대나물 (20220220) 창원시의 야산 자락에서 본 광대나물입니다. 2월도 중순이 지났는데 계속 바람이 차갑습니다. 영하의 기온이라 꽃이 피지 않았겠지 하며 찾았는데 양지바른 곳에서 광대나물이 꽃을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국명 : 광대나물 학명 : Lamium amplexicaule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광대나물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전국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3~5월에 핀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 2022.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