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등에16

미역취 외 (20241024) 이반성의 경남수목원에서 본 미역취입니다. 국명 : 미역취 학명 :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 Hara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Solidago 미역취속 분포 :  전국            일본, 중국, 러시아 사할린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10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높이 35~85cm로 자란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지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길이 7~9cm, 폭 1~1.5cm로서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에 털이 없다.    .. 2024. 12. 28.
덩굴닭의장풀 (20241006) 경상남도 함안군의 야산에서 본 덩굴닭의장풀입니다.   국명 : 덩굴닭의장풀학명 :  Streptolirion volubile Edgew.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닭의장풀목 >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 Streptolirion 덩굴닭의장풀속분포 :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미얀마, 히말라야에 분포한다.생태 :  산속의 습지에서 나는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길이 80cm에 이른다.형태 :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길며 끝이 뾰족하다.           밑부분의 잎은 깊이 파인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때로는 잎 표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3~6cm로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가장자리에 털이.. 2024. 12. 16.
변산바람꽃 (20240213) 2024년 설을 쇠고 나서 만난 변산바람꽃입니다. 고운 모습으로 꽃을 피운 변산바람꽃에 꽃등에가 찾아와서 놀고 있었습니다. 국명 : 변산바람꽃 학명 : Eranthis byunsanensis B.-Y. Sun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Eranthis 너도바람꽃속 분포 :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생태 : 산지 숲속의 계곡 주변 및 숲 가장자리의 전석지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 형태 : 전체적으로 털이 없다. 땅속줄기는 구형으로 직경 1.5cm 내외이다. 뿌리잎은 오각상 원형으로 길이 3~5cm, 크게 세 열편으로 심열하고, 측열편은 또다시 2심렬하며, 각 열편은 깊게 심렬하여 최종적으로 선단부가 둔한 선형으로 되고, 잎자루가 길다. 꽃.. 2024. 2. 28.
향유 (20210928) 대구시 근교의 야산 골짜기에서 본 향유입니다. 식물명 : 향유 학명 : Elsholtzia ciliata (Thunb.) Hyl. 분류 : 꿀풀과 향유속 분포 : 일본, 쿠릴열도, 대만, 중국, 유럽에 분포한다. 형태 : 한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이나 들 또는 길가에 난다. 크기 : 높이 30~60cm이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고 긴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10cm, 나비 1-6cm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예저로서 엽병으로 흐르며 엽병은 길이 0.5-2mm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길이 5-10cm, 지름 7mm로서 홍자색이며 화수(花穗)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빽빽하게 달리며 포는 둥근 부채같고 꽃받침보다 길거나 같으.. 2021. 11. 16.
울산도깨비바늘 (20201021) 부산의 바닷가에서 본 울산도깨비바늘입니다. 꽃등에가 날아와서 놀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울산도깨비바늘 학명 : Bidens pilosa L.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도깨비바늘속 분포 : 울산시 장생포, 방어진과 경북 포항에서 발견되었다. 크기 : 높이가 50-110㎝이다. 잎 : 잎은 마주나기나 상단으로 가면서 어긋나기한다. 3-5소엽의 1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난상피침형 예두, 잎몸은 세모(細毛)로 덮힌다. 꽃 : 머리모양꽃차례는 총포조각이 1열로 주걱모양이며 혀꽃이 없으며 황색의 통상화(筒狀花)로만 구성된다. 열매 : 수과는 3-4개의 관모가 자란 가시가 있다. 줄기 : 줄기는 가는털로 덮힌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20년 10월 21일 부산의 바닷가에서 2020. 12. 25.
좁은잎배풍등 (20200909) 함안의 야산 계곡에서 본 좁은잎배풍등입니다. 식물명 : 좁은잎배풍등 학명 : Solanum japonense Nakai 분류 : 통화식물목 > 가지과 > 가지속 분포 : 중부이남 형태 :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 :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서 길게 벋고, 덩굴지며, 거의 털이 없다. 잎 : 잎은 마주나며, 난상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4-8cm, 폭 1-3.5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때로 밑부분이 둔하게 1-2쌍으로 갈라지기도 한다. 잎 가장자리와 잎맥에 드물게 털이 있다. 꽃 : 꽃은 7-10월에 피며,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성기게 달린다. 화관은 연한 보라색, 길이 6-7mm, 5갈래로 깊이 갈라지며, 밖으로 휜다. 열매.. 2020. 11. 2.
개시호 (20180808) 보현산에서 만난 개시호입니다. 꽃도 탐스럽지가 않은데 꽃등에가 날아와서 놀고 있습니다. 식물명 : 개시호 학명 : Bupleurum longiradiatum Turcz. 분류 : 산형화목 > 산형과 > 시호속 분포 : 제주, 전남(지리산), 전북(덕유산, 남덕유산), 경남, 강원(백석산), 경기(가평), 황해, 평북에 야생한다.. 2018. 8. 30.
다북고추나물 (20160730) 영실에서 위세오름을 오르다가 본 다북고추나물입니다.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약 30cm이다. 고추나물에 비하여 포기 전체가 작고 줄기는 둥글게 모여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바소꼴 또는 좁은 긴 타원 모양으로서 끝은 뭉툭.. 2016. 9. 6.
물레나물 (20160702) 비가 내리던 날에 만난 물레나물입니다.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기슭이나 볕이 잘 드는 물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네모지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0.5∼1m이며 윗부분은 녹색이고 밑 부분은 연한 갈색이며 목질이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5∼10cm.. 2016.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