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나물4

손바닥난초(Gymnadenia conopsea (L.) R.A.Br) 흰꽃 외 - 흡수골 옆의 숲속에서 (20240630) 흡수골 안쪽으로 가서 호수 옆의 숲속을 지나가니 초원이 펼쳐졌습니다. 풀밭에 곰취가 보입니다. 잎을 보니 둥글지가 않고 삼각형 모양으로 몽골의 긴잎곰취( Ligularia jaluensis Kom. )입니다. 야생에서 자라는 파도 보입니다. 차이브(Allium schoenoprasum)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흰색 꽃을 피운 차이브(Allium schoenoprasum)도 보입니다.  숲 앞의 풀밭에 온통 꽃입니다.  풀밭을 지나 숲속으로 들어서니 나도여로와 비슷한 식물을 만났습니다. 몽골의 나도여로속(Anticlea sibirica)입니다.      노랑투구꽃(Aconitum barbatum Pers. var. hispidum (DC.) Ser.)도 보았습니다.   넓은 잎이 작은 용담의 꽃을 받친 .. 2024. 10. 25.
대나물 (20220816) 경북 상주군의 야산에서 본 대나물입니다. 국명 : 대나물 학명 : Gypsophila oldhamiana Miq. 국명이명 : 은시호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석죽과 > 대나물속 분포 : 전국(제주도 제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형태 :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줄기는 굵고, 갈색 또는 회갈색이며, 나무질로 된다. 줄기는 높이 40~60cm, 아래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가 뚜렷하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상 피침형, 길이 2~7cm, 폭 0.5~1.0cm, 끝이 급하게 뾰족하다. 뿌리잎은 길이 15cm에 이르기도 하며, 줄기 아래쪽의 잎은 꽃이 필 때 마른다. 잎맥은 3개이며, 가운데 잎맥이 뚜렷하다. 잎자루는 없다... 2022. 10. 28.
대나물 (20201014) 영월의 야산에서 본 대나물입니다. 흰자주쓴풀이 피었다는 소식을 듣고 찾은 곳에서 대나물을 보았습니다. 식물명 : 대나물 학명 : Gypsophila oldhamiana Miq. 분류 : 중심자목 > 석죽과 > 대나물속 분포 : 우리 나라 각지의 산야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볕이 잘 드는 들이나 바닷가의 산지에서 비교적 흔히 자란다. 크기 : 높이가 50-100cm정도로 자란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피침형으로서 3개의 잎맥이 뚜렷하고 끝이 뾰족하며 엽병은 없으나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6cm, 폭 5-10mm정도이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산방상 취산꽃차례로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짧.. 2020. 12. 20.
노랑투구꽃 (20180908) 정선의 쇄재에서 본 노랑투구꽃입니다. 긴 줄기에 미색의 투구꽃이 총총이 달렸습니다. 식물명 : 노랑투구꽃 학명 : Aconitum sibiricum Poir.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분포 : 중국 / 한국(강원도 정선군, 태백시)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에 자란다. 크.. 2018.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