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과33 낙지다리 열매 (20241005) 경상북도 상주시 근교의 야산에서 본 낙지다리 열매입니다. 국명 : 낙지다리 학명 : Penthorum chinense Pursh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Crassulaceae 돌나물과 > Penthorum 낙지다리속 분포 : 한반도 전역에 나며 만주, 우수리, 일본,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생태 : 습지에서 높이 30~70c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뿌리는 땅속으로 기는 가지가 길게 뻗는다. 잎은 어긋나며 좁은 피침형으로 양 끝이 좁다. 잎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막질이다.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6~7월에 황백색으로 .. 2024. 12. 12. 둥근잎꿩의비름 2 (20241005) 경상북도 문경시 근교의 작은 사찰에서 본 둥근꿩의비름입니다.국명 : 둥근잎꿩의비름 학명 :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 Ohba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Crassulaceae 돌나물과 > Hylotelephium 꿩의비름속 분포 : 경상북도(내연산, 주왕산) 러시아(우수리), 일본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10월에 피며, 열매는 9~11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3~4대가 모여나며, 기는 성질이 있고, 높이 15~30cm이다. 잎은 십자가 모양으로 마주나며, 다육질, 난상 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 지름 3~3.8cm, 밑이 줄기를 감싼다. .. 2024. 12. 10. 말똥비름 (20230512) 전남 영광군의 높은 산 자락의 바위에서 본 말똥비름입니다. 국명 : 말똥비름 학명 : Sedum bulbiferum Makino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Crassulaceae 돌나물과 > Sedum 돌나물속 분포 : 전국 타이완, 일본, 중국 생태 :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형태 : 전체가 연약하고 털이 없다. 줄기는 높이 10~20cm, 처음에는 곧추서지만 옆으로 벋고,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잎은 줄기 아래쪽에서는 어긋나고 위쪽에서는 마주나며, 주걱 모양, 길이 8~15mm, 폭 2~5mm, 끝이 뭉툭하다. 잎겨드랑이에 희고 둥근 살눈이 달린다. 꽃은 줄기 끝의 취산꽃차례에 피며, 노란색.. 2023. 6. 9. 둥근바위솔 (20221110) 경북 동해안의 바닷가 바위에 둥근바위솔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지붕 위에도 둥근바위솔이 보였습니다. 국명 : 둥근바위솔 학명 : Orostachys malacophylla (Pall.) Fisch.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Crassulaceae 돌나물과 > Orostachys 바위솔속 분포 : 전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9~11월에 걸쳐 피며 꽃이 피고 나면 죽는다. 형태 : 뿌리줄기는 짧고 굵다. 줄기는 꽃이 필 때 높이 20~30cm다. 잎은 다육질, 연한 녹색, 뿌리에서 여러 장이 모여나거나 줄기에 다닥다닥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 길이 1.5~7.0cm, 폭 1~3cm, 끝이 둔하거나 .. 2023. 2. 6. 낙지다리 (20220823) 경남 함안군의 습지 주변에서 본 낙지다리입니다. 국명 : 낙지다리 학명 : Penthorum chinense Pursh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돌나물과 > 낙지다리속 분포 : 한반도 전역에 나며 만주, 우수리, 일본,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생태 : 습지에서 높이 30~70cm 정도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뿌리는 땅속으로 기는 가지가 길게 뻗는다. 잎은 어긋나며 좁은 피침형으로 양 끝이 좁다. 잎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털이 없으며 막질이다.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6~7월에 황백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갈라져 생긴 총상꽃차례에 위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꽃차례에는 짧은 샘털이 있다. 꽃받침은 담녹색으로 종 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 2022. 11. 15. 난쟁이바위솔 (20220804) 전북의 높은 산에서 본 난쟁이바위솔입니다. 바위에 옹기종기 붙어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난쟁이바위솔 학명 : Meterostachys sikokianus (Makino)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돌나물과 > 난쟁이바위솔속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생태 : 깊은 산의 바위 겉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2~10cm가량이다. 형태 :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끝부분에서 많은 잎과 줄기가 모여난다. 잎은 다육질의 선형으로 다소 편평하며, 길이 7~12cm, 너비 1.5~2mm이고 끝에 바늘 모양의 작은 돌기가 있다. 줄기잎은 뿌리잎보다 약간 짧고, 밑의 잎은 3장씩 돌려나나 위의 것은 어긋나며 가시 끝이 희미해진다. 꽃은 8~9월에 .. 2022. 10. 7. 기린초 (20220706) 강원도 정선군의 높은 고개에서 본 기린초입니다. 나비가 날아와서 놀고 있습니다. 국명 : 기린초 학명 : Sedum kamtschaticum Fisch. & C. A. Mey.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돌나물과 > 돌나물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 세포, 충북 속리산, 군자산, 월악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생태 : 깊은 산지 숲속의 축축한 바위틈이나 겉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높이 20cm에 달하고, 뿌리줄기는 끝이 목질화되며, 줄기는 많이 가늘어 연약하고 많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고, 줄기 아래쪽으로 점차 작아져 비늘조각 모양으로 되며, 잎자루는 길이 2~3mm이다. 잎몸은 긴 도란형이거나 주걱형으로 길이 2.5~3.5cm이며, 잎 가장자리 상부에 .. 2022. 9. 4. 기린초 (20220702) 경북 영양군의 높은 산에서 본 기린초입니다. 기린초 꽃에 나비가 날아와서 놀고 있습니다. 국명 : 기린초 학명 : Sedum kamtschaticum Fisch. & C. A. Mey.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돌나물과 > 돌나물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 세포, 충북 속리산, 군자산, 월악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생태 : 깊은 산지 숲속의 축축한 바위틈이나 겉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높이 20cm에 달하고, 뿌리줄기는 끝이 목질화되며, 줄기는 많이 가늘어 연약하고 많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고, 줄기 아래쪽으로 점차 작아져 비늘조각 모양으로 되며, 잎자루는 길이 2~3mm이다. 잎몸은 긴 도란형이거나 주걱형으로 길이 2.5~3.5cm이며, 잎 가장자리.. 2022. 8. 29. 대구돌나물 (20220609) 부산시의 저수지 주변에서 본 대구돌나물입니다. 국명 : 대구돌나물 학명 : Tillaea aquatica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돌나물과 > 대구돌나물속 분포 : 중부 이북 러시아(극동),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유럽 생태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를 치며, 곧추서거나 옆으로 기고, 높이 2~6cm, 연녹색, 아래쪽은 붉은색을 띤다. 잎은 마주나며,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4~8mm, 폭 1mm쯤, 끝은 뾰족하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한 개씩 흰색으로 피며, 4(~5)수성, 꽃자루는 없다. 꽃받침잎은 4장, 삼각상 난형이다. 꽃잎은 4장, 난상 타원형, 길이 1mm쯤으로 막질이다. 수술은 4개, 암술은 4개다. 열매.. 2022. 8. 7.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