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멀꿀4

멀꿀 (20220417) 이반성의 경남수목원에서 본 멀꿀입니다. 덩굴이 자라도록 만든 터널에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멀꿀 학명 : Stauntonia hexaphylla Decne.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으름덩굴과 > 멀꿀속 지정관리 :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분포 : 우리나라 전남, 경남, 충남 등, 주로 남해안 섬과 제주도에 자생하며 일본, 타이완, 중국 남부의 난대 지역에 분포한다. 생태 : 표고 700m 이하의 남쪽 섬 바닷가에서 길이 15m, 지름 8cm 정도 자라는 상록 덩굴성 나무이다. 형태 : 줄기는 길이 15m, 직경 6cm 정도로 자란다. 일년생 줄기는 털이 없고 녹색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잎은 5~7개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2022. 5. 25.
멀꿀 (20210521) 거제도에서 본 멀꿀 열매입니다. 꽃은 지고 녹색 열매를 달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멀꿀 학명 :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ne.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으름덩굴과 > 멀꿀속 분포 : 일본, 중국, 대만; / 전라남도 및 제주도. 형태 : 상록 활엽 덩굴식물. 크기 : 길이 15m. 잎 : 잎은 어긋나기로 두꺼우며 손모양겹잎이다. 소엽은 5~7개이며 달걀꼴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0cm, 폭 2.5~4cm로서 첨두이며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잎자루는 길이 6~8cm이며 작은잎자루의 길이는 3cm 정도 된다. 꽃 : 꽃은 암수딴그루로 4 ~ 5월에 피며 유백색이고 총상꽃차례에 2 ~ 4개씩 달리며, 꽃길이는 3~5cm의 화경에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3cm 정도로.. 2021. 6. 30.
금새우란 외 - 제주 오름에서 (20170426) 오름에서 만난 금새우란입니다. 탐방로에서 떨어진 숲속에서 피어 있어도 노란색이 고와서 멀리서도 보였습니다. 고운 모습 앞에서 한참을 엎드려 눈맞춤을 하였습니다. 금새우난초는 우리나라 남부 해안지역과 제주도 서해안 일부 지역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볕.. 2017. 5. 12.
멀꿀 (20160416) 상록덩굴식물인 멀꿀입니다. 덩굴로 다른 나무를 감고 자라면서 종모양의 꽃을 풍성하게 피웠습니다.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으름덩굴과의 상록 덩굴식물. 원줄기는 5m 정도 뻗어가고 잎은 어긋나며 5∼7개의 작은잎으로 된 손바닥모양 겹잎(掌狀複葉)이다. 작은잎은 두껍고 달걀모.. 2016.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