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주머니란49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guttatum Sw.) 외 - 흡수골 호수 옆의 숲에서 (20240630) 숲속에서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guttatum Sw.)을 보았습니다.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Sw.)도 있습니다. 꽃은 지는 중이었습니다. 쥐손이풀도 보았습니다. 푸른색을 띄는 쥐손이풀속(Geranium pseudosibiricum J. Mayer) 식물입니다. 쇠채(Scorzonera albicaulis Bunge)도 보았습니다. 나도여로와 비슷한 식물도 보았습니다. 꽃잎이 젖혀지는 것이 나도여로와 다른 것 같았습니다. 몽골의 나도여로속(Anticlea sibirica)입니다. 보라색 꽃을 피운 식물을 만났습니다. 원지과로 보입니다. 인가목(Rosa acicularis)도 보았습니다. 송이풀(Pedicularis res.. 2024. 10. 23. 복주머니란 (20230531) 지난 5월에 강원도 정선군의 고찰에서 본 복주머니란입니다. 국명 : 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macranthos Sw. 국명이명 : 개불알꽃 분류 :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Orchidales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Cypripedium 복주머니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동유럽에서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능선부 풀밭이나 그 주변의 숲속 등 다소 양지바른 곳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서 산다. 형태 : 전체에 털이 있으며 뿌리줄기는 짧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20~40cm이며, 다세포의 털이 .. 2023. 12. 19. 복주머니란 (20230531) 강원도 정선군의 고찰 전각 앞에서 본 복주머니란입니다. 국명 : 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macranthos Sw. 국명이명 : 개불알꽃 분류 :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Orchidales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Cypripedium 복주머니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동유럽에서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능선부 풀밭이나 그 주변의 숲속 등 다소 양지바른 곳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서 산다. 형태 : 전체에 털이 있으며 뿌리줄기는 짧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20~40cm이며, 다세포의 털이 난다.. 2023. 7. 5. 복주머니란 (20230525) 경남 밀양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복주머니란입니다. 국명 : 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macranthos Sw. 국명이명 : 개불알꽃 분류 :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Orchidales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Cypripedium 복주머니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동유럽에서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능선부 풀밭이나 그 주변의 숲속 등 다소 양지바른 곳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서 산다. 형태 : 전체에 털이 있으며 뿌리줄기는 짧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20~40cm이며, 다세포의 털이 난다... 2023. 7. 2. 복주머니란 (20220527) 강원도의 사찰 뜰에서 본 복주머니란입니다. 야생의 복주머니란은 아니지만 탐스러운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감사했습니다. 국명 : 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macranthos Sw. 국명이명 : 개불알꽃 분류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Orchidales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Cypripedium 복주머니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동유럽에서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능선부 풀밭이나 그 주변의 숲속 등 다소 양지바른 곳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서 산다. 형태 : 전체에 털이 있으며 뿌리줄기는 짧게 옆으로 뻗는다... 2023. 2. 15. 복주머니란 (20220526) 강원도의 높은 산에서 본 복주머니란입니다. 먼길을 달려가서 만난 복주머니란이라 복주머니란 앞에서 한참동안 머물렀습니다. 국명 : 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macranthos Sw. 국명이명 : 개불알꽃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복주머니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동유럽에서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능선부 풀밭이나 그 주변의 숲속 등 다소 양지바른 곳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서 산다. 형태 : 전체에 털이 있으며 뿌리줄기는 짧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20~40cm이며, 다세포의 털이 난다. 타원형의 잎은 어긋나며,.. 2022. 7. 25. 복주머니란 (20220513) 경북의 높은 산에서 본 복주머니란입니다. 숲속에서 붉은 주머니 모양의 꽃을 피운 복주머니란은 멀리서도 그 모습을 알아볼 수가 있어 탄성을 질렀습니다. 훼손이 심하여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이 되어 관리를 받고 있는 복주머니란입니다. 국명 : 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macranthos Sw. 국명이명 : 개불알꽃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복주머니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동유럽에서부터 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능선부 풀밭이나 그 주변의 숲속 등 다소 양지바른 곳의 배수가 잘되는 곳에서 산다. 형태 : 전체에 털.. 2022. 7. 6. 복주머니란 (20210506) 광릉수목원에서 본 복주머니란입니다. 관리를 받고 있는 복주머니란들이었지만 고운 모습을 볼 수 있어 반가왔습니다. 식물명 : 복주머니란 학명 : Cypripedium macranthos Sw. 분류 : 난초과 복주머니란속 분포 : 일본, 중국, 유럽 / 한국(전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해발 500m 이하의 낮은 곳에서는 약간 음습한 낙엽수림 하부에서 생육하며 해발 500m 이상되는 높은 곳에서는 바람이 잘 통하는 능선의 초지대에서 자생하고, 고산지대에서는 아늑한 남향의 초지대에 자란다. 크기 : 높이 20~4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3~5개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8~20cm, 나비 5~8cm 정도로서 털이 약간 있고 기부는 짧은 엽초를 이루어 줄기를 감싸며 밑부분에 달린 2-3개의 잎.. 2021. 6. 16. 복주머니란 (20160505) 울릉도 예림원에서 본 복주머니란입니다. 개불알꽃라고도 불리우는데 복이 담긴 것 같은 꽃송이가 멋집니다.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요강꽃·작란화·복주머니란이라고도 한다. 산기슭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25∼40cm이다. 짧은 뿌리줄기를 옆으로 벋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며 털이 난다.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3∼5개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길이 8∼20cm, 나비 5∼8cm이다. 털이 드문드문 나며 밑쪽은 잎집이 된다. 5∼7월 길이 4∼6cm의 붉은 자줏빛 꽃이 줄기 끝에 1개씩 핀다. 포는 잎 모양이며 길이 7∼10cm이다. 꽃잎 가운데 2개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쪽에 약간의 털이 난다. 입술꽃잎은 길이 3.5∼5cm로 큰 주머니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7∼8월에.. 2021. 6. 14.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