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송이풀4 손바닥난초(Gymnadenia conopsea (L.) R.A.Br) 외 - 흡수골 호수 옆의 숲에서 (20240630) 흡수골 안쪽으로 가서 호수 옆의 숲속에서 꽃 탐사를 하였습니다. 손바닥난초(Gymnadenia conopsea (L.) R.A.Br)도 보았습니다. 무리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도라지가 연상이 되는 초롱꽃속 식물을 보았습니다. 몽골울 다녀온 사람들이 캄파눌라속(Campanula stevenii subsp. turczaninpvii)으로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호수 옆의 풀밭에 곰취가 있습니다. 몽골의 초원에서 자라는 곰취(Ligularia?sibirica)입니다. 용담과로 보이는 식물을 만났습니다. 넓은 잎이 푸른색 작은 통꽃 여러 개를 싸고 있는 모습입니다. 큰용담(Gentiana macrophylla)이라고 하였습니다. 노랑투구꽃(Aconitum barbatum Pers.. 2024. 10. 22. 긴털바람꽃(Anemone narcissiflora Linne var.crinita(Juz.) Taruma) 외 - 흡수골 아트88리조트에서 (20240629) 흡수골의 리조트에 도착하여 숙소를 배정받으니 7시였습니다. 숙소 앞의 풀밭에 긴털바람꽃(Anemone narcissiflora Linne var.crinita(Juz.) Taruma)이 보입니다. 꽃은 지는 중이었습니다. 금매화도 보입니다. 몽골의 금매화는 백두산에서 본 금매화와는 다른 종의 금매화(Trollius asiaticus L.)라고 합니다. 도라지를 닮은 캄파눌라(Campanula stevenii subsp. turczaninpvii)도 보입니다. 꽃고비(Polemonium caeruleum L.)도 보았습니다. 야생 산파 차이브(Allium schoenoprasum)도 보입니다. 자운속 식물도 보았습니다. 두메자운(Oxytropis grandiflora)과 비슷하였습니다. 붉은.. 2024. 10. 11. 황새풀(Eriophorum vaginatum L.) 외 - 자르갈지구르 캠프로 이동하면서 (20240628) 차강호에서 다음 목적지는 흡수골로 향했습니다. 한동안 차는 비포장도로를 달렸습니다. 차창으로 보이는 뭉골의 풍경이 아름답습니다. 차창으로 보는 도로변에 흰색의 꽃과 노랑색 꽃이 보였습니다. 차를 세우고 내려가니 황새풀(Eriophorum vaginatum L.)이 피었습니다. 구름송이풀 비슷한 붉은색 꽃이 있습니다. 붉은송이풀(Pedicularis rubens)이라 부르는 사람도 있습니다. 미나리아재비로 보이는데 키가 작습니다. 김찬수박사가 알타이미나리아재비(Ranunculus altaicus)라고 이름을 붙인 것이 이 종이 아닐까 짐작을 합니다. 백두산떡쑥(Antennaria dioica)도 보았습니다. 붉은색이 감도는 모습입니다. 큰점나도나물(Cerasti.. 2024. 10. 1. 붉은송이풀(Pedicularis rubens) - 쳉헤르온천의 습지에서(20240626) 붉은색 꽃을 피운 송이풀도 보았습니다. 구름송이풀로 보였는데 붉은송이풀(Pedicularis rubens)로 소개를 한 자료가 있었습니다. 2024. 9.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