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형과37

몽골은엉겅퀴(Jurinea mongolica) 외 - 흡수골 호수 옆에서 (20240701) 흡수골호 옆의 숲속에서 호숫가로 나왔습니다, 호숫가에 엉겅퀴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몽골은엉겅퀴(Jurinea mongolica)입니다. 나비가 날아와서 놀고 있습니다.          호숫가에 넓은잎까치밥나무(Ribes latifolium)가 보입니다. 구릿대 비슷한 산형과 식물도 무리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당귀속의 식물로 Angelica decurrens (Ledeb,) B. Fedtsch.입니다.     해란초와 비슷한 식물도 보았습니다. 줄기가 곧추서고 꽃을 탐스럽게 단 해란초속Linaria acutiloba Fish.입니다. 2024. 10. 31.
좀낭아초(Chamaerhodos erecta (L.) Bunge) 외 - 차강호 가는 길의 야산에서(20240626) 도로 옆의 언덕에는 좀낭아초(Chamaerhodos erecta (L.) Bunge)가 보였습니다. 딱지꽃이랑 나란히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바닥에 붙어서 분홍색 꽃을 피운 십자화가 식물을 보었습니다. 분홍색 꽃을 피우고 전체에 털이 많으니 큰장대와 비슷한데 의문이 갑니다. 바닥이 드러난 곳에 털이 난 잎에 제대로 피지 않은 붉은색 꽃이 보였습니다. 앵초의 한 종류로 보이는데 꽃을 살펴볼 수 없어 어떤 식물인지 가늠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씨를 맺은 자운속 식물과 잎만 나온 피뿌리풀이 개미자리속 식물과 어울려 있습니다.키가 큰 냉이속 식물을 만났습니다. 큰 키에 가는 잎을 달고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바위 주변에 산형과 식물이 보입니다. 산형과 식물은 국내에서도 눈을 마주치지 않으려고.. 2024. 9. 3.
가는범꼬리(Bistorta alopecuroides (Turcz. ex Besser) Kom.) 외 - 쳉헤르온천의 숙소 뒷산에서(20240626) 몽골의 꽃 탐사 둘째날을 맞았습니다. 5시에 일어났습니다. 지난 밤에는 비가 내려서 걱정을 하였는데 아침에 게르 밖으로 나오니 안개가 끼었지만 비는 오지 않았습니다. 게르 옆에 풀꽃들이 이슬을 매달고 있었습니다.가는범꼬리(Bistorta alopecuroides (Turcz. ex Besser) Kom.)도 보았습니다.    산형과 식물입니다. 산형과는 이름을 알기가 어려워서 보고도 못본체 지나는데 게르를 나오니 바로 앞에서 꽃을 피우고 있어 그 모습을 담았습니다.    5시 반이 지나자 게르가 아침을 맞고 있었습니다.   두메자운 비슷한 콩과 식물도 풀밭에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잎많은두메자운(Oxytropis myriophylla)으로 정리한 것이 있어 참고로 하였습니다.  톱풀도 보았습니다. 분.. 2024. 8. 26.
피뿌리풀 외 - 테를지국립공원의 습지에서 (20230712) 테를지국립공원 내의 습지에 들렸다. 웅덩이에 흰색 꽃을 피운 식물이 있다. 산형과 식물이다. 물속에 흰꽃동의나물도 보였다. 풀밭을 돌다가 물매화를 보았다. 돌바늘꽃도 같이 있었다. 좁쌀풀속 식물도 만났다. 습지를 나와서 풀밭에서 피뿌리풀을 만났다 무더기로 피어난 피뿌리풀이라 그 앞에서 한참을 보냈다. 오랑캐장구채도 꽃을 피우고 있다. 버섯도 올라오고 있다. 낙타가 풀밭을 걸어가고 있다. 물이 고인 곳에서 멈추어서 물을 먹고 계속 풀밭을 걸어간다. 2023. 9. 7.
바디나물 (20220924) 경남 함안군의 야산에서 본 바디나물입니다. 국명 : 바디나물 학명 : Angelica decursiva (Miq.) Franch. & Sav. 분류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piales 미나리목 > Apiaceae 미나리과 > Angelica 당귀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베트남,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숲 가장자리나 개울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뿌리는 지름 1~2cm, 갈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50cm, 보통 자줏빛 녹색이 돌고, 털이 없으며,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이 13~36cm로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잎몸은 1~2회.. 2023. 1. 3.
궁궁이 (20220917) 강원도 홍천군의 계곡에서 본 궁궁이입니다. 국명 : 궁궁이 학명 : Angelica polymorpha Maxim. 분류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piales 미나리목 > Apiaceae 미나리과 > Angelica 당귀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골짜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키는 80~150cm이다. 잎집에만 털이 있고 뿌리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며 삼각형이고 삼각상 넓은 난형이며 4회 3출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피침형이고 길이 3~6cm이며 3갈래로 갈라지기도 하고 끝이 뾰족하며 결각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흰색이며 긴 타원형의 잎집이 발달한다. 꽃은 8~9월에 피.. 2022. 12. 19.
흰바디나물 (20220911) 경상남도 의령군의 야산 임도변에서 본 흰바디나물입니다. 식물명 : 흰바디나물 학명 : 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var. distans (Nakai) Kitag. 분류 : 산형화목 > 산형과 > 당귀속 분포 : 경기(광릉, 북한산), 전남(광주) 등 중부지방에 자생하나 거의 멸종 상태.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의 음습지에 난다. 크기 : 높이 약 1m에 달한다. 잎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지지만 3개씩 갈라진 것같이 보이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첫째의 1쌍과 둘째 것과의 간격은 8-13cm이며 첫째 것이 바로 엽초에 달리는 것이 처녀바디와 다르고 그 밖의 것은 거의 처녀바디와 비슷하.. 2022. 12. 11.
개구릿대 (20220729) 강원도 높은 곳에서 본 개구릿대입니다. 국명 : 개구릿대 학명 : Angelica anomala Ave?-Lal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목 >미나리과 > 당귀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타이완, 러시아 동시베리아, 사할린, 아무르, 우수리,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기슭의 습한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뿌리줄기는 회갈색이고 향기가 난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80~100cm, 세로로 난 주름이 있고 보통 자줏빛을 띤다. 줄기 윗부분은 갈라지며 전체에 짧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나 밑부분에는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난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2~3회 깃꼴겹잎, 꽃이 피는 시기에 일찍 시든다. 줄기잎은 2~3회 깃꼴겹잎, 길이 8~13cm의 잎자.. 2022. 9. 25.
병풀아재비 (20210406) 2021년 4월 초에 동해안 바닷가 야산에서 만난 병풀아재비입니다. 산형과 병풀아재비속의 한해살이식물로 2018년에 발표된 미기록 귀화식물입니다. 병풀과 유사하게 보이는 특징에 기인하여 병풀아재비로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식물명 : 병풀아재비 학명 : Bowlesia incana Ruiz & Pav. 분류 : 산형화목 > 산형과 > 병풀속 분포 : 울산 울주군에서 발견 형태 : 2018년에 미기록 귀화식물로 발표된 산형과 병풀아재비속의 한해살이식물 잎 : 전체에 별 모양의 털이 있고, 잎에 깊은 결각이 있다. 꽃 : 줄기 잎겨드랑이에 꽃차례가 달리는데 2-5개의 꽃이 3-4월에 핀다. 꽃받침은 막질로 5장이고 꽃잎은 자주색을 띠며 5장이다. 수술도 5개, 암술은 2개이다. 열매 : 2개로 갈라지는 분.. 2022.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