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숲속29

기생꽃(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Fisch.) Ledeb.) 외 - 흡수골 호숫가 옆의 숲속에서 (20240701) 흡수골호 옆의 습지를 둘러보고 나오다가 호숫가 옆의 숲속에 꽃 탐사를 하였습니다. 바위에 기생꽃(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Fisch.) Ledeb.)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숲속에서 분홍노루발(Pyrola asarifolia subsp. incarnata (DC.) Haber &Hir. Takah.)도 보았습니다. 두루미꽃과 어울려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두루미꽃(Maianthemum bifolium (L.) F. W. Schmidt)도 무리로 피었습니다.  제비란속의 난초도 보았습니다. 무리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투구꽃도 보았습니다.     마르타곤백합도 보았습니다. 2024. 11. 8.
장백제비꽃 외 - 흡수골 호수 옆 숲속에서 (20240701) 아침 식사를 하고 작년에 묵었던 캠프 옆의 숲속에 꽃 탐사를 갔습니다. 노란꽃을 피운 제비꽃을 보았습니다.  장백제비꽃입니다.               노랑투구꽃(Aconitum barbatum Pers. var. hispidum (DC.) Ser.)도 보입니다.  투구꽃도 보입니다. Aconitum leucostomum Worosch.입니다.   금매화도 보입니다. 쥐손이풀도 보았습니다. 흰꽃도 피었습니다.      나도여로속 식물도 만났습니다.    꽃고비도 보았습니다. 2024. 10. 30.
두루미꽃(Maianthemum bifolium) 외 - 흡수골 호수 옆 숲속에서 (20240701) 아침 식사를 하고 작년에 묵었던 캠프 옆의 숲속에 꽃 탐사를 갔습니다. 두루미꽃(Maianthemum bifolium)이 피어서 반겨주었습니다. 작년보다 일찍 찾았는데 꽃은 작년보다 늦은 것 같았습니다.         마르타곤백합(Lilium martagon L.)도 피었습니다.           꿩의다리속도 보았습니다. Thalictrum foetidum L.인 것 같습니다.      바위에 단풍이 든 이끼가 있습니다. 가는잎쐐기풀(Urtica?angustifolia?Fisch. ex Hornem.)도 보았습니다. 손에 닿았는데 한참동안 뜨끔거렸습니다.  흰대극(Euphorbia esula L.)은 열매를 달고 있었습니다.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도 보았습니다. 긴 줄기에.. 2024. 10. 29.
손바닥난초(Gymnadenia conopsea (L.) R.A.Br) 흰꽃 외 - 흡수골 옆의 숲속에서 (20240630) 흡수골 안쪽으로 가서 호수 옆의 숲속을 지나가니 초원이 펼쳐졌습니다. 풀밭에 곰취가 보입니다. 잎을 보니 둥글지가 않고 삼각형 모양으로 몽골의 긴잎곰취( Ligularia jaluensis Kom. )입니다. 야생에서 자라는 파도 보입니다. 차이브(Allium schoenoprasum)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흰색 꽃을 피운 차이브(Allium schoenoprasum)도 보입니다.  숲 앞의 풀밭에 온통 꽃입니다.  풀밭을 지나 숲속으로 들어서니 나도여로와 비슷한 식물을 만났습니다. 몽골의 나도여로속(Anticlea sibirica)입니다.      노랑투구꽃(Aconitum barbatum Pers. var. hispidum (DC.) Ser.)도 보았습니다.   넓은 잎이 작은 용담의 꽃을 받친 .. 2024. 10. 25.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guttatum Sw.) 외 - 흡수골 호수 옆의 숲에서 (20240630) 숲속에서 털복주머니란(Cypripedium guttatum Sw.)을 보았습니다.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Sw.)도 있습니다. 꽃은 지는 중이었습니다.       쥐손이풀도 보았습니다. 푸른색을 띄는 쥐손이풀속(Geranium pseudosibiricum J. Mayer) 식물입니다. 쇠채(Scorzonera albicaulis Bunge)도 보았습니다.      나도여로와 비슷한 식물도 보았습니다. 꽃잎이 젖혀지는 것이 나도여로와 다른 것 같았습니다. 몽골의 나도여로속(Anticlea sibirica)입니다.   보라색 꽃을 피운 식물을 만났습니다. 원지과로 보입니다.      인가목(Rosa acicularis)도 보았습니다.  송이풀(Pedicularis res.. 2024. 10. 23.
손바닥난초(Gymnadenia conopsea (L.) R.A.Br) 외 - 흡수골 호수 옆의 숲에서 (20240630) 흡수골 안쪽으로 가서 호수 옆의 숲속에서 꽃 탐사를 하였습니다. 손바닥난초(Gymnadenia conopsea (L.) R.A.Br)도 보았습니다. 무리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도라지가 연상이 되는 초롱꽃속 식물을 보았습니다. 몽골울 다녀온 사람들이 캄파눌라속(Campanula stevenii subsp. turczaninpvii)으로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호수 옆의 풀밭에 곰취가 있습니다. 몽골의 초원에서 자라는 곰취(Ligularia?sibirica)입니다. 용담과로 보이는 식물을 만났습니다. 넓은 잎이 푸른색 작은 통꽃 여러 개를 싸고 있는 모습입니다. 큰용담(Gentiana macrophylla)이라고 하였습니다.      노랑투구꽃(Aconitum barbatum Pers.. 2024. 10. 22.
개제비란(Coeloglossum viride var. bracteatum) 외 - 쳉헤르온천 가는 길의 숲속에서(20240625) 솦속에 개제비란(Coeloglossum viride var. bracteatum)도 있었습니다.          개형개(Schizonepeta multifida (L.) Briq.)도 보였습니다. 꿀풀과 식물입니다. 큰솔나리(Lilium pumilum Redoute)도 고운 모습으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잎이 솔잎을 닮았다고 솔나리란 이름을 얻었습니다. 피뿌리풀과 같이 꽃을 피운 모습도 보였습니다.     풀 사이에서 달구지풀(Trifolium lupinaster)도 보았습니다.황기도 보였습니다. 우리 황기와는 조금 다른 모습으로 알타이황기라고 하였습니다.속단과 비슷한 식물도 보였습니다. 우리 속단보다는 줄기가 길고 꽃차례도 조금 다른 모습입니다.  Phlomoides tuberosa (L.) Mo.. 2024. 8. 23.
좀개불알풀 (20240420) 제주도 숲속 둘레길에서 본 좀개불알풀입니다. 국명 :  좀개불알풀 학명 :  Veronica serpyllifolia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Scrophulariaceae 현삼과 > Veronica 개불알풀속 분포 : 전국             러시아, 일본, 중국(동북부); 유럽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6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땅 위를 뻗으며, 길이 10~15cm, 가지를 치고, 윗부분은 곧추서며,            마디에서 뿌리를 낸다.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거나 윗부분에서 드물게 어긋난다.            잎자루는 길이 2~3mm, 줄기 위쪽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없다... 2024. 6. 22.
큰개구리발톱 (20240420) 제주도 숲속 둘레길에서 본 큰개구리발톱입니다. 개구리발톱보다 크기가 큰 편이고 잎의 갈래가 깊이 갈라지지 않은 편입니다.       2024년 4월 20일 제주도 숲속 둘레길에서 2024.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