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북65

위도상사화 (20240830) 전북 부안군의 바닷가 야산에서 본 위도상사화입니다.   국명 : 위도상사화 학명 :  Lycoris uydoensis M. Kim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Amaryllidaceae 수선화과 > Lycoris 상사화속 분포 : 우리나라 전라북도 위도 및 서해안 일대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생태 : 바닷가 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땅속 비늘줄기는 지름 4~4.7cm의 목이 있는 난형이며 겉은 막질이고 흑갈색이다.            잎은 2~5월 말에 포개져 나오고 길이 47~66cm, 너비 1.7~2.5cm이고 선형이며 녹색이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꽃자루는 길이 80~110cm이고 붉은빛이 도는 녹색이다.  .. 2025. 1. 30.
상사화 (20240830) 전북 부안군의 바닷가 야산에서 본 상사화입니다.  국명 : 상사화 학명 :  Lycoris squamigera Maxim.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Amaryllidaceae 수선화과 > Lycoris 상사화속 분포 : 거의 전국에 자란다.            중국, 일본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열매는 잘 맺히지 않는다. 형태 : 비늘줄기는 넓은 난형, 지름 4~5cm이다.            잎은 4~5월에 비늘줄기 끝에서 여러 장이 나오며, 선형, 길이 20~30cm, 폭 1.8~2.5cm,          연한 녹색, 6~7월에 말라 없어진다.            꽃은 높이 50~70cm의 꽃줄기.. 2025. 1. 28.
붉노랑상사화 (20240830) 전북 부안군의 바닷가 야산에서 본 붉노랑상사화입니다.   국명 : 붉노랑상사화 학명 :  Lycoris flavescens M. Kim & S. Lee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Amaryllidaceae 수선화과 > Lycoris 상사화속 분포 : 경기도 강화도, 충청남도 난지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등           서해안에 가까운 지역과 제주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생태 : 도서 지역 및 바닷가 인접한 지역의 풀밭, 경작지 주변 및           산지 숲속의 전석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비늘줄기는 지름 4.5~5.2cm의 목이 긴 난형이며 겉은 막질이고 흑갈색을 띤다.            잎은 2~5월에 4~8개가 포개져 나고 길이.. 2025. 1. 27.
마 (20240830) 전북 부안군의 바닷가 야산에서 본 마입니다.   국명 : 마 학명 :  Dioscorea polystachya Turcz. 분류 :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Dioscoreaceae 마과 > Dioscorea 마속 분포 :  재배함             중국, 일본 생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길이 3~4m로 자란다.            삼각상 난형으로 생긴 잎은 엇갈려 나거나 마주 보며 달리며, 때로는 모여 달리며,          길이는 4~9cm, 너비는 2.5~7.5cm이고, 잎줄은 5~7개이다.            잎 아래쪽은 심장처럼 생겼으며, 때로 3갈래로 조금 갈라지기도 한.. 2025. 1. 27.
백양더부살이 연보라 (20230512) 전북의 백양산 자락의 저수지 둑에서 본 연보라색의 꽃을 피운 백양더부살이입니다. 보라색 꽃을 피우는 백양더부살이인데 연보라의 꽃을 피운 백양더부살이가 나란히 꽃을 피우고 있어 비교가 되었습니다. 국명 : 백양더부살이 학명 : Orobanche filicicola Nakai ex J. O. Hyun, H. C. Shin & Y. S. I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Scrophulariales 현삼목 > Orobanchaceae 열당과 > Orobanche 초종용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전라남도 강진, 전라북도 백양산 지역, 제주도 대정 등지에만 분포한다. 생태 : 하천변에 매우 드물게 사는 기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양지바르고 낙엽층이 거의 없는 자갈이나 .. 2023. 6. 13.
백양더부살이 (20230512) 전북의 백양산 자락의 저수지 둑에서 본 백양더부살이입니다. 국명 : 백양더부살이 학명 : Orobanche filicicola Nakai ex J. O. Hyun, H. C. Shin & Y. S. I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Scrophulariales 현삼목 > Orobanchaceae 열당과 > Orobanche 초종용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전라남도 강진, 전라북도 백양산 지역, 제주도 대정 등지에만 분포한다. 생태 : 하천변에 매우 드물게 사는 기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양지바르고 낙엽층이 거의 없는 자갈이나 모래땅에서 쑥류에 기생해 생육한다. 5~6월경에 개화한다. 형태 : 줄기는 여러 대가 뭉쳐나며 표면에 샘털이 많고, 높이 10~30cm로.. 2023. 6. 13.
백양더부살이 (20230512) 전북의 백양산 자락의 저수지 둑에서 본 백양더부살이입니다. 국명 : 백양더부살이 학명 : Orobanche filicicola Nakai ex J. O. Hyun, H. C. Shin & Y. S. I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Scrophulariales 현삼목 > Orobanchaceae 열당과 > Orobanche 초종용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전라남도 강진, 전라북도 백양산 지역, 제주도 대정 등지에만 분포한다. 생태 : 하천변에 매우 드물게 사는 기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양지바르고 낙엽층이 거의 없는 자갈이나 모래땅에서 쑥류에 기생해 생육한다. 5~6월경에 개화한다. 형태 : 줄기는 여러 대가 뭉쳐나며 표면에 샘털이 많고, 높이 10~30cm로.. 2023. 6. 12.
상치아재비 (20230512) 전북의 백양산 자락의 저수지 둑에서 본 상치아재비입니다. 국명 : 상치아재비 학명 : Valerianella olitoria (L.) Pollich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국화아강 > Dipsacales산토끼꽃목 > Valerianaceae마타리과 > Valerianella상치아재비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 세계적으로 서아시아, 북아시아, 북아메리카, 일본 등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생태 :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목장의 도로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0~40cm, 여러 번 차상분지하며, 4개의 능선이 있고, 능선 위에 미세한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난다. 줄기의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있고 주걱형, 길이 1~3cm, 너비 0.4~1mm, 둔두,.. 2023. 6. 11.
수영 (20230512) 전북의 백양산 자락의 저수지 둑에서 본 수영입니다. 국명 : 수영 학명 : Rumex acetosa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Polygonales 마디풀목 > Polygonaceae 마디풀과 > Rumex 소리쟁이속 분포 : 전국 전 세계 생태 : 전국의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햇볕이 잘 들고 수분이 충분한 곳에서 흔히 자란다. 형태 : 줄기는 높이 30~80cm이다. 원줄기는 곧게 서고 원주형이며 줄이 있고, 녹색 또는 홍자색을 띠며 신맛이 난다. 근생엽은 총생하며 장타원형으로 길이 3~6cm, 폭 1~2cm이다. 경생엽은 어긋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아랫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없어지면서 원줄기를 감싼다. 턱잎은 잎집 같고 얇다. 꽃은 자웅이주이고 .. 2023.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