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라수목원12

비양나무 외- 한라수목원에서 (20240420)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비양나무입니다. 국명 : 비양나무 학명 :  Oreocnide frutescens (Thunb.) Miq. 국명이명 : 바위모시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Urticales 쐐기풀목 > Urticaceae 쐐기풀과 > Oreocnide 비양나무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 비양도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남부, 인도 북부, 파키스탄 및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생태 : 바닷가 저지대 숲 가장자리에 드물게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형태 : 줄기는 가늘고 긴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2m쯤이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0.5~5cm이다.             잎몸은 보통 긴 타원형이지만 드물게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6~12cm.. 2024. 7. 6.
비자란 (20240420)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비자란입니다. 국명 : 비자란 학명 :  Thrixspermum japonicum (Miq.) Rchb. f.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Orchidales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Thrixspermum 비자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분포 :  국내에는 과거 한라산을 비롯하여 제주도 일대에 분포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비자나무를 비롯한 상록수 숲에 산다.             해발 250~350m 남사면 계곡부 숲속 노거수에 주로 착생한다.             4~5월경에 개화한다. 형태 : 공기뿌리와 줄기는 가늘고 길다.            길이가 3~7.. 2024. 7. 5.
죽절초 (20200221)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죽절초입니다. 빨간 열매를 맺고 있습니다. 식물명 : 죽절초 학명 :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분류 : 후추목 > 홀아비꽃대과 > 죽절초속 분포 : 일본, 대만,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제주도. 형태 : 상록 활엽 반관목. 생육환경 : 산기슭의 숲속 크기 : 높이 1m. 잎.. 2020. 3. 13.
백서향 (20200221)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백서향입니다. 가까이 다가가니 향기도 느껴졌습니다 식물명 : 백서향 학명 : Daphne kiusiana Miq. 분류 : 팥꽃나무목 > 팥꽃나무과 > 팥꽃나무속 분포 : 일본;/ 전라남도 및 경상남도, 제주도.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생육환경 : 반음지에서 잘 자라며 건조에는 강.. 2020. 3. 13.
호자나무 (20200221)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호자나무입니다. 가지에 가시와 함께 빨간 열매를 달고 있습니다. 식물명 : 호자나무 학명 : Damnacanthus indicus C.F.Gaertn. 분류 : 꼭두서니과 호자나무속 분포 : 태국, 인도, 중국, 일본; 전라남도 및 제주도. 형태 : 상록 활엽 관목. 생육환경 : 배수가 잘 되고 습기가 .. 2020. 3. 13.
삼지닥나무 (20200221) 2월 21일에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삼지닥나무입니다. 식물명 : 삼지닥나무 학명 : Edgeworthia chrysantha Lindl. 분류 : 팥꽃나무목 > 팥꽃나무과 > 삼지닥나무속 분포 : 전라남도, 경상남도 및 제주도에 식재.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생육환경 : 내한성이 약하여 중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불.. 2020. 3. 13.
솔잎란 (20200221) 제주도 한라수목원의 온실에서 본 솔잎란입니다. 포자낭이 갈라지고 있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식물명 : 솔잎란 학명 : Psilotum nudum (L.) P.Beauv. 분류 : 솔잎란목 > 솔잎란과 > 솔잎란속 분포 : 일본, 중국, 대만, 미국, 아열대지역 / 한국(전라남도 신안군; 제주도) 형태 : 상록성 다년초 생.. 2020. 3. 12.
수선화 (20200221)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수선화입니다. 식물명 : 수선화 학명 :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Roem. 분류 : 백합목 > 수선화과 > 수선화속 분포 : 제주도에 분포한다.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습지에서 잘 자란다. 크기 : 꽃대는 높이가 20-40cm정도로 자란다. 잎 .. 2020. 3. 12.
개구리발톱 (20200221)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개구리발톱입니다. 식물명 : 개구리발톱 학명 :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개구리발톱속 분포 : 제주도와 호남지방에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산기슭이나 숲속, 풀밭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2020.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