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천군35

한계령풀 (20240406) 강원도 홍천군의 야산에서 본 한계령풀입니다.   국명 : 한계령풀 학명 :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S. Moore) Takht. 국명이명 : 메감자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매자나무과 > Gymnospermium 한계령풀속 분포 :  북부지방, 강원도(가리왕산, 금대봉, 오대산, 점봉산, 태백산)            중국(동북부)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전체가 연한 녹색이며, 털이 없고 연약하다.             실처럼 가늘어진 뿌리줄기의 20~50cm 아래에 둥근 덩이뿌리가 있고,           여기에서 수염뿌리가 난다.             줄기는 높이 30~50cm이며, .. 2024. 5. 14.
호랑버들 (20240406) 강원도 홍천군의 야산에서 본 호랑버들입니다.  국명 : 호랑버들 학명 :  Salix caprea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버드나무목 > Salicaceae 버드나무과 > Salix 버드나무속 분포 : 제주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러시아, 일본, 중국; 유라시아  생태 : 낙엽 작은키나무이다.            꽃은 4월에 피고 열매는 5월에 익는다. 형태 : 높이 5~6m, 수피는 짙은 회색이고, 가지는 퍼지고 모가 나며, 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어린 가지는 연한 털이 있으나, 곧 떨어진다.            잎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 길이 3~9cm, 폭 2~4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성긴 톱니가.. 2024. 5. 12.
각시현호색 (20240406) 강원도 홍천군의 야산에서 본 각시현호색입니다.    국명 :  각시현호색 학명 :  Corydalis misandra B. U. Oh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양귀비목 > 현호색과 > Corydalis 현호색속 생태 : 잎은 3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3출엽으로 각 소엽은 타원형 또는 선형           꽃은 4-5월에 개화, 꽃의 색은 백색, 하늘색 또는 남청색을 띤다. 해설 : 1990년대 이후 발표된 6개 신종 현호색의 하나.           남도현호색과 꽃의 크기나 잎의 형태 등이 크게 닮았는데           다만 종자의 배열이 남도는 2열, 각시는 1열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4년 4월 6일 강원도 홍천군의 야산에서 2024. 5. 12.
지리바꽃 흰꽃 (20220929) 강원도 홍천군의 계곡에서 본 흰색 꽃을 피운 지리바꽃입니다. 국명 : 지리바꽃 학명 : Aconitum chiisanense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Aconitum 초오속 분포 : 우리나라 지리산, 중·남부 이북 지역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세가 큰 산지의 숲속 사면과 계곡 주변 등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80cm이다. 형태 : 뿌리는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마늘쪽처럼 굵고 육질인데 땅속으로 깊게 들어간다. 줄기는 곧게 혹은 비스듬히 자라며 자줏빛이 돌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빽빽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5~7개로 갈라지며,.. 2023. 1. 11.
지리바꽃 (20220929) 강원도 홍천군의 계곡에서 본 지리바꽃입니다. 국명 : 지리바꽃 학명 : Aconitum chiisanense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Aconitum 초오속 분포 : 우리나라 지리산, 중·남부 이북 지역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중국 만주, 일본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세가 큰 산지의 숲속 사면과 계곡 주변 등지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80cm이다. 형태 : 뿌리는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마늘쪽처럼 굵고 육질인데 땅속으로 깊게 들어간다. 줄기는 곧게 혹은 비스듬히 자라며 자줏빛이 돌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빽빽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5~7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가장자리.. 2023. 1. 11.
천남성 열매 (20220929) 강원도 홍천군의 계곡에서 본 천남성 열매입니다. 국명 : 천남성 학명 :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 분류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Arales 천남성목 > Araceae 천남성과 > Arisaema 천남성속 분포 : 전국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러시아 극동 지방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6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형태 : 덩이줄기는 조금 납작한 구형이며, 지름 2~4cm, 주위에 작은 덩이줄기가 2~3개 달린다. 줄기는 높이 30~90cm, 녹색이지만 때로 자주색 반점이 있다. 잎은 줄기에 1~2장이 달리며, 작은 잎 3~5장으로 이루어진다. 작은 잎은 도란상 피침형 또는 긴.. 2023. 1. 11.
투구꽃 (20220929) 강원도 홍천군의 계곡에서 본 투구꽃입니다. 국명 : 투구꽃 학명 : Aconitum jaluense Ko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Aconitum 초오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이 없을 경우, 줄기의 윗부분에 1개의 싹눈이 생겨 땅에 닿아 새로운 뿌리를 내린다. 습지가 많고 그늘진 곳에서는 싹눈이 많이 생기고, 습기가 적고 햇빛이 잘 드는 생육환경에서 꽃 피는 비율이 높아진다. 형태 : 덩이뿌리는 긴 도란형이다. 줄기는 높이 1.0~1.5m, 가늘고 길며, 구부러진다. 줄기 윗부분 잎겨드랑이에 싹눈이 있다.. 2023. 1. 10.
향유 (20220929) 강원도 홍천군의 계곡에서 본 향유입니다. 국명 : 향유 학명 : Elsholtzia ciliata (Thunb.) H. Hyl. 분류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Elsholtzia 향유속 분포 : 전국 동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도입) 생태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8~10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60cm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0.5~2.0cm로 위쪽에 날개가 있다. 잎몸은 넓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3~10cm, 폭 1~6cm,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양면은 털이 난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의 이삭꽃차례에 한쪽으로 .. 2023. 1. 10.
꽃향유 (20220929) 강원도 홍천군의 계곡에서 본 꽃향유입니다. 국명 : 꽃향유 학명 : Elsholtzia splendens Nakai ex F. Maek. 분류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Elsholtzia 향유속 분포 : 전국 중국 동북부 생태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9~10월에 피고 소견과인 열매는 10~11월에 맺는다. 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와 들녘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곳에 잘 자란다. 그늘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60cm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좁은 타원형, 길이 4~8cm, 폭 3~5cm, 가장자리에 이 모양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1... 2023.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