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까치수염을 보러 가는 길에 박쥐나무에 핀 꽃을 보았습니다.
하얀 꽃잎을 말아올리고 노란 꽃술을 드리운 모습은 노리개를 닮았습니다.
식물명 : 박쥐나무
학명 :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분류 : 산형화목 > 박쥐나무과 > 박쥐나무속
분포 : 일본; 전국 분포.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생육환경 : 그늘진 나무 숲속의 습기가 적당한 토양을 좋아하며 주로 전석지와 배수성이 좋은 사질양토에서 많이 야생한다.
내건성은 약하므로 관수관리를 적절히 해주어야 한다.
크기 : 높이 3 ~ 4m.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7 ~ 20cm × 7 ~ 20cm로, 끝이 3 ~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달걀형이고 아심장저로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주맥 분기점에 밀모가 있으며, 잎자루 길이는 2 ~ 10cm로 짧은 털이 있다.
꽃 : 꽃은 1 ~ 7개씩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5월 중순 ~ 6월에 피며, 꽃받침통은 거꿀달걀형, 절두이고,
꽃잎은 선형으로 8개이고 길이 25mm로 누른빛이 돌고 꽃이 피면 뒤로 말리며 기부가 서로 붙어있다.
수술은 12개이고 수술대는 길이 10mm로서 견모가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털이 없으며 꽃잎과 길이가 같고 작은꽃대는 환절이 있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난상 원형이고 길이 6~8mm로 짙은 파란색으로 8월 말에 성숙한다.
줄기 : 줄기는 밑에서 여러개가 올라와 수형을 만들고 나무껍질은 흑자색으로 외피가 흔히 벗겨지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특징 : 박쥐같은 잎과 가을 하늘색처럼 아름다운 벽색의 열매는 매우 매력적이고, 나무의 이름은 잎이 박쥐의 날개 같다하여 붙여진 것이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잎이 단풍잎을 닮은 단풍박쥐나무도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단풍박쥐나무
학명 : Alangium platanifolium (Siebold & Zucc.) Harms
분류 : 산형화목 > 박쥐나무과 > 박쥐나무속
분포 : 경기도 수원시; 강원도 강릉시; 충청북도 제천시; 충청남도 예산군; 전라남도 구례군; 경상북도 영덕군; 경상남도 남해군, 산청군, 함양군; 부산시 금정구
형태 : 낙엽 활엽 관목.
생육환경 : 숲 속에서 자라고 습기가 있는 토양을 좋아하며 주로 전석지같은 곳에 많이 야생한다.
크기 : 높이 4m까지 자란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12cm, 폭 5-12cm로서 5(간혹 3)개로 중앙까지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아심장저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백록색으로서 잔털이 있고 주맥 분기점에 밀모가 있으며 기부에 장상 맥이 있다.
꽃 : 취산꽃차례는 액생하고 2-3개의 꽃이 달리며 털이 없고 꽃은 처지며 꽃자루와 환절로 되어 있고 꽃받침통은 거꿀달걀모양으로서 끝이 절두이다.
꽃잎은 5개이며 황색 또는 연황색이고 길이 22mm로서 뒤로 말리며 수술이 꽃잎보다 짧고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 : 열매는 핵과로 타원상 원형이며 붉은 빛이 도는 흑색으로 익고 길이 10mm이다.
줄기 : 일년생가지에 짧은 잔털이 있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2019년 6월 17일 오름 둘레길에서
'식물 > 제주도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삼 외 - 제주도 둘레길에서 (20190617) (0) | 2019.09.04 |
---|---|
섬까치수염 (20190617) (0) | 2019.09.03 |
약난초 (2019017) (0) | 2019.09.03 |
삼백초 (20190617) (0) | 2019.09.02 |
거지덩굴 (20190617)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