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못가 습한 곳에서는 창포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꽃창포와는 달리 꽃이 작고 좀스러워서 맨눈으로는잘 보이지가 않았습니다.
식물명 : 창포
학명 : Acorus calamus L.
분류 : 천남성목 > 천남성과 > 창포속
분포 :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베트남, 미국 / 한국(전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햇볕이 잘 드는 30cm 미만의 얕은 물속이나 물가, 습지 등에서 자란다.
크기 : 잎의 길이가 70cm 정도이다.
잎 : 잎은 근경 끝에서 모여나기하며 길이 70cm, 나비 1-2cm로서 선형이고 나란히 맥이 있으며 주맥이 뚜렷하고 대검같으나
밑부분이 서로 얼싸안으며 2줄로 나열된다.
꽃 : 꽃대는 잎과 같으나 약간 짧고 중앙부에 5cm 정도의 이삭꽃차례가 6-7월경에 비스듬히 옆으로 달린다.
꽃대축면에서 연한 황록색의 많은 꽃이 밀생하며 꽃은 양성이고 6개씩의 화피와 수술이 있다.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둥근 타원형으로서 둥근 암술머리가 있다.
뿌리 : 근경은 굵고 옆으로 뻗으며 마디가 많고 밑부분에서 수염뿌리가 돋는다.
특징 : 예전에는 민가 주위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었으나 경지정리 및 제초제의 사용으로 희귀식물화하였다.
속명에서 희랍어의 "a(부정의 접두어)"와 "coros(장식)"의 합성어로서 꽃의 관상가치가 없다는 뜻이다.
특이한 향을 내는 방향성 식물이다.
꽃이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유사종 : 석창포 : 남부지방 계곡의 냇가 습기 있는 바위에 붙어 자란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꽃은 지고 열매를 맺고 있습니다.
식물명 : 흑삼릉
학명 : Sparganium erectum L.
분류 : 부들목 > 흑삼릉과 > 흑삼릉속
분포 : 일본, 중국, 중앙아시아, 러시아, 미국 / 한국(전역)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연못이나 도랑에 난다.
크기 : 높이 70-100cm
잎 : 잎은 서로 감싸면서 자라 원줄기보다 길어지고 나비 7-12mm로서 뒷면에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여름철에 잎 사이에서 꽃대가 자라 윗부분이 갈라지고 가지 밑에는 잎같은 포가 있다.
잎은 모여나며 선형이고 녹색으로 연질이며 끝이 뭉뚝하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단성(單性)이며 백색이다.
꽃차례는 길이 30-50cm이며 두상화수(頭狀花穗)가 穗狀(수상)으로 달리고 밑부분에는 암꽃, 윗부분에는 수꽃만 달리며
엽상포(葉狀苞)에 액생한 화수(花穗)의 가지에 달린다.
수꽃은 3개의 화개편(花蓋片)이 있고 3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꽃도 3개의 화개편이 있고 길이 3mm정도이다.
씨방은 1개이고 상위로서 길이 3mm이며 암술대는 길이 3-6mm로서 1개이다.
열매 : 구과(毬果)는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6-10mm, 지름 4-8mm로서 능각이 있고 대가 없다.
줄기 : 옆으로 벋는 기는줄기가 있으며 전체가 해면질이고 원줄기는 곧고 굵으며 높이 70-100cm이다.
뿌리 : 근경은 짧게 옆가지를 내며 줄기는 거칠고 강하며 곧게 선다.
근경을 흑삼릉(黑三稜)이라 한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2019년 6월 18일 한라생태숲에서
'식물 > 제주도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기범부채 외 - 제주 동부해안에서 (20190713) (0) | 2019.10.18 |
---|---|
참나리 외 - 제주도 해변에서 (20190713) (0) | 2019.10.17 |
순채 (20190618) (0) | 2019.09.09 |
탐라까치수염 (20190618) (0) | 2019.09.09 |
선피막이와 큰피막이 (20190618) (0) | 2019.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