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깔닭의장풀입니다.
몇 해 전에 보고 다시 만나보고 싶었지만 기회가 없어 안타까웠는데
우연히 꽃을 피운 모습을 만나게 되어 너무 반가왔습니다.
닭의장풀보다 꽃이 작고 잎도 다른 모습이라 구분이 되었습니다.
식물명 : 고깔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benghalensis L
분류 : 닭의장풀목 닭의장풀과
분포 : 한국, 열대 아시아, 열대 및 아열대 아프리카 /제주도와 경상남도의 길가나 빈터
형태 :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이고, 원산지가 열대 아프리카 및 열대 아시아인 외래식물이다.
크기 : 높이는 10~30cm이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달걀형 또는 피침형이며 평행맥이 있다.
길이는 3~5㎝, 폭은 2~3㎝이다.
양면에 털이 있다가 점차 떨어진다.
잎자루는 뚜렷하고 잎집은 억센 털로 덮인다.
꽃 : 꽃은 8~10월에 꽃대 끝에 파란색으로 피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포는 가지 끝에서는 대개 다발을 형성하고 두 개의 면이 합쳐져 깔때기 모양을 이룬다.
꽃받침조각은 3개이고 흰색이다.
꽃잎은 3개이다.
위쪽 꽃잎 2개는 크고 둥글며, 파란색이다.
아래쪽 꽃잎 1개는 작고 흰색이다.
열매 : 열매는 여러 개의 방에서 튀어나오는 삭과(?果)이고 3실로 되어 있다.
땅 속에서 닫힌꽃(폐쇄화)이 땅속줄기 끝에 달려서 열매를 맺는다.
유래 : 깔때기 모양의 포가 고깔을 닮았고 닭의장풀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촬영지 : 제주도
출처 : 두산백과
2019년 7월 15일 월령리에서
'식물 > 제주도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좀비비추 외 - 제주의 계곡에서 (20190715) (0) | 2019.11.07 |
---|---|
번행초 흰꽃 외 - 제주 바닷가에서 (20190715) (0) | 2019.11.06 |
씨눈난초 - 한라산 둘레길에서 (20190715) (0) | 2019.10.31 |
실꽃풀 외 - 한라산 둘레길에서 (20190715) (0) | 2019.10.30 |
흑박주가리 - 1100고지 휴게소에서 (20190715) (0) | 201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