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해안 바닷가의 숲속에서 만난 으름난초입니다.
6월 중순에 만난 으름난초는 꽃을 활짝 피우지는 않았습니다.
식물명 : 으름난초
학명 : Galeola septentrionalis Rchb.f.
분류 : 난초과 으름난초속
분포 : 일본, 중국 / 한국(충청남도 태안군; 전라북도 진안군; 전라남도 보성군, 영암군; 제주도)
형태 : 여러해살이풀, 부생란.
생육환경 : 숲속에서 자라고 썩은 균사에 기생하는 식물이다.
크기 : 높이 50-100㎝
잎 : 잎은 삼각형으로서 뒷면이 부풀고 마르면 가죽같이 된다.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황갈색이고 씨방과 꽃받침 뒷면에 갈색 털이 있으며
꽃받침조각은 길이 15-20mm, 나비 4-6mm로서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꽃받침조각과 비슷하며 다소 짧고 털이 없다.
입술모양꽃부리는 황색이며 육질이고 넓은 달걀모양으로서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안쪽에 돌기가 있는 줄이 있고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진다.
암술대는 약간 길게 굽는다.
열매 :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6-8㎝로서 육질이고 적색으로 익으며 종자는 날개가 있다.
줄기 : 높이 50-100cm로서 곧게 서며 육질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갈색 짧은 털이 밀생한다.
엽록소가 없다.
뿌리 : 근경은 육질이며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고 비늘같은 잎이 달리며
길게 뻗는 뿌리속에 Armillaria 라는 버섯의 균사가 들어있다.
특징 : 전국적으로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매우 적다.
썩은 균사에 기생하는 식물로서 녹색인 것이 없다.
유래 : 으름같은 열매가 열리기 때문에 으름난초라고 한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20년 6월 19일 충남 서해안 바닷가에서
'식물 > 들꽃(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의난초 (20200623) (0) | 2020.08.30 |
---|---|
타래난초 (20200623) (0) | 2020.08.30 |
비비추난초 (20200619) (0) | 2020.08.25 |
옥잠난초 (20200619) (0) | 2020.08.25 |
닭의난초 (20200617) (0) | 2020.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