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의 큰섬 바닷가에서 본 노란별수선입니다.
바닷가 바위 위에서 별 모양의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국명 : 노란별수선
학명 : Hypoxis aurea Lour.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노란별수선과 > 노란별수선속
분포 : 제주도
네팔, 타이완, 미얀마, 베트남,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햇빛이 잘 드는 삼나무숲 또는 소나무숲 가장자리에 자라며, 보통 억새가 함께 생육한다.
꽃은 6월에 핀다.
형태 : 덩이줄기는 구형, 실 모양으로 갈라진 줄기집에 덮여 있고, 많은 수염뿌리가 난다.
잎은 최대 12장이 모여나며, 선형, 길이 5~50cm, 폭 2~6mm, 단면은 삼각형,
끝은 뾰족하고 연갈색의 털이 있다.
꽃줄기는 길이 2.5~10cm, 1~3개의 꽃이 달린다.
포엽은 2개, 선형이며 거센 털이 있다.
화피편은 6장, 좁은 도란형, 길이 6~8mm, 노란색이다.
수술은 6개, 화피편보다 짧으며 꽃밥은 화살 모양이다.
암술머리는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 타원형, 길이 6~12mm이다.
해설 : 본 종은 한국에서 1935년에 Ohwi에 의해서 제주도에서 채집되었으나,
그동안 국내에서 분포가 확인되고 있지 않았다.
이후 2006년 6월에 제주도 서귀포 하례리에서 채집되어 '노란별수선‘으로 발표되었다.
노란별수선속은 과거에 수선화과로 분류되었으나,
형태 및 분자형질에 의해 독립된 노란별수선과로 분리되었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2년 5월 12일 전남 진도의 바닷가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애기나리 (20220513) (0) | 2022.07.04 |
---|---|
삿갓나물 (20220513) (0) | 2022.07.04 |
고들빼기 (20220512) (0) | 2022.07.03 |
쥐꼬리풀 (20220512) (0) | 2022.07.01 |
끈끈이귀개 (20220512)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