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함안군의 야산 임도변에서 본 털진득찰입니다.
국명 : 털진득찰
학명 : Sigesbeckia pubescens (Makino) Makino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Sigesbeckia 진득찰속
분포 : 전국
인도, 일본, 중국, 대만
생태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60~120cm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6~12cm, 줄기 가운데의 잎은 난형 또는 난상 삼각형으로
길이 8~19cm, 폭 7~18cm,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이 잎자루로 흘러서 날개처럼 된다.
잎 양면에 털이 많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산방꽃차례처럼 달린다.
꽃대는 길이 1.5~3.5cm, 자루가 있는 샘털이 많다.
모인꽃싸개 조각은 5개, 길이 1.0~1.2cm, 선형, 샘털이 많다.
혀모양꽃은 1줄로 붙으며, 암꽃이고, 길이 3.5mm쯤이다.
관모양꽃은 모두 양성꽃이다.
열매는 수과, 도란형으로 길이 2.5~3.5mm, 능선이 4개 있고, 털이 없다.
이용 및 활용 : 관상용
해설 : 진득찰에 비해서 줄기와 잎에 흰색 긴 털이 많이 나며, 잎은 조금 더 크고,
꽃대에 자루가 있는 샘털이 나므로 구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022년 9월 20일 경상남도 함안군의 야산 임도변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개현삼 (20220920) (0) | 2022.12.27 |
---|---|
처진물봉선 흰꽃 (20220920) (0) | 2022.12.27 |
진득찰 (20220920) (0) | 2022.12.27 |
흰진범 (20220920) (0) | 2022.12.26 |
주름조개풀 (20220920) (0)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