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의 작은 사찰에서 본 털별꽃아재비입니다.
국명 : 털별꽃아재비
학명 : Galinsoga quadriradiata Ruiz & Pav.
국명이명 : 털쓰레기국화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Galinsoga 별꽃아재비속
분포 : 전국
남아메리카(원산);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귀화)
생태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6~9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50cm, 가지를 치며, 전체에 흰색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1.0cm, 긴 타원형, 잎몸은 난형으로 길이 2~8cm, 폭 1~5cm,
가장자리에 5~10개의 톱니가 있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차례로 1개씩 피며 지름 6~7mm다.
총포는 반구형, 조각은 5개로 표면에 샘털이 있다.
혀모양꽃은 5개, 흰색, 끝이 3갈래로 갈라진다.
관모양꽃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 검은색으로 익으며, 혀모양꽃의 수과는 길이 1.5~2.0mm, 갓털은 6~15개, 길이 0.5~1.0mm다.
관모양꽃의 수과는 길이 1.3~1.8mm, 갓털은 없거나 14~20개, 흰색이다.
이용 및 활용 : 가축 사료, 퇴비용
해설 : 별꽃아재비에 비해 털이 많고 혀모양꽃의 크기가 크며, 관모양꽃의 우산털 끝이 뾰족하므로 구분된다.
국내에는 1970년대에 이입되었으며, 서울을 비롯하여 중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털별꽃이 핀 옆에 주홍서나물도 보였습니다.
미국까마중도 늦게까지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2023년 11 9일 경북 청도군의 작은 사찰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주바람꽃 (20230321) (65) | 2023.11.14 |
---|---|
민구와말 외 - 둔치도에서 (20231001) (81) | 2023.11.13 |
노루귀 - 변이 (20230315) (71) | 2023.11.10 |
노루귀 (20230315) (71) | 2023.11.09 |
덩굴닭의장풀 외 (20231028) (64) | 202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