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에 경남 함안군의 야산 임도에서 본 작살나무입니다.
국명 : 작살나무
학명 : Callicarpa japonica Thunb.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Verbenaceae 마편초과 > Callicarpa 작살나무속
분포 : 중부 이남(재배)
중국
생태 : 낙엽 떨기나무다.
꽃은 8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높이 3~5m, 곧추서며, 껍질은 연한 회색이다.
가지는 보라색을 띠며, 어린 가지에 작은 별 모양의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5cm, 폭 3~5c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잎은 종 모양, 길이 2mm, 윗부분은 4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4개가 모여 달이고 흰색으로 익는다.
이용 및 활용 : 관상용으로 심는다.
해설 :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섬에서 자라는 송금나무는 작살나무보다 잎이 작은 특징으로 구분되고,
울릉도를 비롯해 해안가에서 자라는 왕작살나무는 복취산꽃차례를 갖는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털노박덩굴은 열매를 달고 있습니다.
2023년 6월 23일 경남 함안군의 야산 임도에서
'식물 > 들꽃(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금우 외 - 거제도에서 (20240130) (27) | 2024.02.20 |
---|---|
백서향 (20240130) (31) | 2024.02.19 |
가시오갈피나무 (20230622) (49) | 2024.01.21 |
풍년화 (20240105) (39) | 2024.01.18 |
납매 (20240105) (51)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