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수목원에서 본 자주광대나물입니다.
풀밭을 뒤덮고 있었습니다.

국명 : 자주광대나물
학명 : Lamium purpureum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Lamium 광대나물속
분포 : 충청북도(영동), 충청남도(청양), 전라남도(영암), 제주도
유라시아
생태 :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밑 부분이 눕고 위쪽은 곧게 자라며 높이 10~25cm다.
잎은 마주나며 가장자리에 둥근 톱니가 있다.
줄기 아래쪽 잎은 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0.7~3.0cm,
끝은 둥글고 밑은 심장형으로 가늘고 긴 잎자루가 있다.
위쪽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짧은 잎자루가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길이 5~6mm, 5갈래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며 연한 보라색으로 길이 1.0~1.5cm다.
열매는 분과로 도란형, 길이 1.5mm쯤이다.
이용 및 활용 : 약용한다.
해설 : 광대나물(에 비해 줄기 위쪽 잎은 잎자루가 있어 구분되며,
광대수염에 비해 크기가 작고 줄기 아래쪽이 누워 자라며
잎이 난형으로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지 않으므로 구분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긴병꽃풀도 피었습니다.




깽깽이풀도 보았습니다.



돌단풍도 보았습니다.







미치광이풀도 보았습니다.






2024년 3월 30일 경남 이반성의 경남수목원에서
'식물 > 들꽃(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붓꽃 (20240331) (57) | 2024.05.01 |
---|---|
왜제비꽃 외 - 함안의 야산에서 (20240331) (0) | 2024.05.01 |
애기자운 (20240329) (41) | 2024.04.27 |
흰노랑민들레 (20240329) (0) | 2024.04.27 |
서양민들레 (20240329) (0) |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