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물/동물

은방울꽃 (20160512)

by 청계 1 2018. 2. 12.



종모양의 흰색 꽃이 꽃대에 총총이 달렸습니다.
은방울꽃입니다.

2016년 늦은 봄에 경남 의령군의 야산에서 만났습니다.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오월화·녹령초·둥구리아싹 등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25∼35cm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새순이 나오고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밑부분에서는 칼집 모양의 잎이 있고 그 가운데에서 2개의 잎이 나와 마주 감싼다.
잎몸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길이 12∼18cm, 너비 3∼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길이 6∼8mm이고 종 모양이다.
꽃줄기는 잎이 나온 바로 밑에서 나오며, 길이 5∼10cm의 총상꽃차례에 10송이 정도가 아래를 향하여 핀다.
포는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넓은 줄 모양이며, 작은꽃자루의 길이와 비슷하거나 짧다.
화피는 6장이고 수술은 6개로서 화관 밑에 달린다.
씨방은 달걀 모양이며 3실이고 암술대는 짧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7월에 붉게 익는다.
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한다.
관상초로 심으며 어린 잎은 식용한다.
향기가 은은하여 고급향수를 만드는 재료로 쓰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강심·이뇨 등의 효능이 있어 심장쇠약·부종·타박상 등에 약재로 쓴다.
꽃말은 ‘순결, 다시 찾은 행복’이다.
한국·중국·동시베리아·일본에 분포한다.


두산백과













두산백과
큰꽃으아리입니다.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 덩굴식물.
숲가장자리와 산기슭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가늘고 갈색이며 길이가 2∼4m이고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5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4∼10c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거나 심장 모양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긴 잎자루가 물체에 감기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의 지름은 10∼15cm이고, 꽃받침 조각은 6∼8개이며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잎은 없고, 수술은 수가 많으며, 수술대는 흰색이고 편평하다.
암술은 그 수가 많고, 암술대는 길이가 3∼4cm이며 황색을 띤 갈색의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 5mm의 넓은 달걀 모양이며 둥근 모양을 이루며 모여 달리고 암술대가 남아 있다.
많은 원예 품종이 개발되어 꽃의 색깔이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붉은빛이 도는 흰색·보라색 등이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위령선(威靈仙)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사지 마비·요통·근육 마비·타박상·다리의 동통 등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두산백과









노린재나무입니다.

큰꽃으아리를 보고 나오다가 만났습니다.



쌍떡잎식물 감나무목 노린재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1∼3m이다.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지고 가지는 퍼져 나며 작은가지에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노란색이다.
끝으로 갈수록 점차 뾰족해지며 길이 3∼7cm, 나비 3∼4cm이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에는 털이 나거나 없고 작은 톱니가 있으나 때로 뚜렷하지 않다.
잎자루는 길이 3∼8mm이다.
5월에 흰 꽃이 피는데, 새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4∼8cm이다.
포는 줄 모양이며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로 일찍 떨어진다.
꽃받침과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지며 화관의 지름은 7∼8mm이다.
꽃대에는 털이 나고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수술은 여러 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 8mm 정도이며 9월에 짙은 파란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흰색으로 익는 것은 흰노린재(var. leucocarpa)라고 하는데, 강원도에서 자란다.
정원수로 심으며 한국·일본·중국·히말라야산맥 등지에 분포한다.


두산백과









2016년 5월 12일 경남 의령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