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858

민눈양지꽃 (20240425) 경상북도 영천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민눈양지꽃입니다. 국명 :  민눈양지꽃 학명 :  Potentilla rosulifera H. Lev.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Rosaceae 장미과 > Potentilla 양지꽃속 분포 :  중부 이남            일본, 중국(동북부)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땅 위를 기며, 길이 10~20cm이다.             뿌리잎과 줄기잎은 모두 작은잎 3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작은잎은 사각상 난형, 길이 1.5~4cm, 폭 1.2~3cm, 깊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 지름 .. 2024. 7. 9.
나도바람꽃 (20240425) 경상북도 영천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나도바람꽃입니다. 국명 : 나도바람꽃 학명 :  Isopyrum raddeanum (Regel) Maxi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Isopyrum 만주바람꽃속 분포 : 지리산 이북            러시아(우수리), 일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6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높이 20~30cm이다.            뿌리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길다.            줄기잎은 보통 1장이며, 줄기 위쪽에 달리고 잎자루가 짧다.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겹잎이며, 작은잎은 다시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줄기 끝의 잎처럼 생긴 포엽 .. 2024. 7. 8.
나도개감채 (20240425) 경상북도 영천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나도개감채입니다. 국명 : 나도개감채 학명 :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분류 :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Lloydia 개감채속 분포 : 우리나라 지리산 이북에 자생하며,             러시아 우수리,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볕이 잘 드는 초원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비늘줄기는 넓은 난형, 길이 8mm쯤이며 껍질이 갈라지지 않는다.            줄기는 곧추서는데 연약하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높이 10~25cm이다.            뿌리잎은 1~2장이며, 세모진 선형으로 길이 10~20cm,  .. 2024. 7. 8.
금강제비꽃 외- 보현산에서 (20240425) 경상북도 영천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금강제비꽃입니다. 국명 :  금강제비꽃 학명 :  Viola diamantiac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Violales 제비꽃목 > Violaceae 제비꽃과 > Viola 제비꽃속 분포 :  우리나라 지리산, 오대산 이북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생태 :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원줄기는 없으며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는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모여나온다.              잎은 심장형이며,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6.5∼10cm, 폭 6∼11cm이고,            끝이 뾰족하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 2024. 7. 6.
비양나무 외- 한라수목원에서 (20240420)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비양나무입니다. 국명 : 비양나무 학명 :  Oreocnide frutescens (Thunb.) Miq. 국명이명 : 바위모시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Urticales 쐐기풀목 > Urticaceae 쐐기풀과 > Oreocnide 비양나무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 비양도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남부, 인도 북부, 파키스탄 및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생태 : 바닷가 저지대 숲 가장자리에 드물게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형태 : 줄기는 가늘고 긴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2m쯤이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0.5~5cm이다.             잎몸은 보통 긴 타원형이지만 드물게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6~12cm.. 2024. 7. 6.
비자란 (20240420) 제주도 한라수목원에서 본 비자란입니다. 국명 : 비자란 학명 :  Thrixspermum japonicum (Miq.) Rchb. f.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Orchidales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Thrixspermum 비자란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분포 :  국내에는 과거 한라산을 비롯하여 제주도 일대에 분포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생태 :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비자나무를 비롯한 상록수 숲에 산다.             해발 250~350m 남사면 계곡부 숲속 노거수에 주로 착생한다.             4~5월경에 개화한다. 형태 : 공기뿌리와 줄기는 가늘고 길다.            길이가 3~7.. 2024. 7. 5.
한라새우난초 (20240420) 제주도 절물휴양림에서 본 한라새우난초입니다. 국명 :  한라새우난초(큰새우난초) 학명 : Calanthe bicolor Lindl.  분류 :  난초과 새우난초속  분포 : 제주도의 산림 아래  형태 :  제주도의 산림 아래에서 나는 상록성 다년생 초본이다.  크기 :  키는 30~50㎝ 정도이고 잎 :     잎의 길이는 10~30㎝, 폭은 5~8㎝이고 긴 타원형으로 깊은 주름이 지고           3~5장이 안에서 자라며 이듬해 봄에 쓰러진다.  꽃 :     꽃은 윗부분에 10~20개의 꽃이 20~40㎝의 꽃대에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며, 주로 주황색으로 달리고 꽃 색의 변이가 심하다.             꽃잎은 길이가 1.2~1.5㎝, 폭.. 2024. 7. 5.
새우난초 녹화 (20240420) 제주도 절물휴양림에서 본 새우난초 녹화입니다. 국명 : 새우난초 학명 :  Calanthe discolor Lindl.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Orchidales 난초목 > Orchidaceae 난초과 > Calanthe 새우난초속 분포 :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생태 :  산지의 숲속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난초로 높이는 20~50cm 정도이다.  형태 : 잎은 양면에 털이 없고 잎끝은 약간 점차 뾰족해지는 모양, 3장 정도이다.            뿌리잎은 광타원형 내지 타원형으로 길이 20cm, 너비 5~10cm이고,          줄기잎은 타원형으로 잎의 크기가 뿌리잎과 비슷하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하거나 붉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2024. 6. 24.
한라새우난초 (20240420) 제주도 절물휴양림에서 본 한라새우난초입니다. 국명 :  한라새우난초(큰새우난초) 학명 : Calanthe bicolor Lindl.  분류 :  난초과 새우난초속  분포 : 제주도의 산림 아래  형태 :  제주도의 산림 아래에서 나는 상록성 다년생 초본이다.  잎 :     잎의 길이는 10~30㎝, 폭은 5~8㎝이고 긴 타원형으로 깊은 주름이 지고           3~5장이 안에서 자라며 이듬해 봄에 쓰러진다.  꽃 :     꽃은 윗부분에 10~20개의 꽃이 20~40㎝의 꽃대에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며, 주로 주황색으로 달리고 꽃 색의 변이가 심하다.            꽃잎은 길이가 1.2~1.5㎝, 폭은 1.5~2㎝로 부채꼴 모양이고,    .. 2024.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