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백두산야생화417 나도옥잠화 (20180606) 선봉령 습지를 가는 길에서 만난 나도옥잠화입니다. 식물명 : 나도옥잠화 학명 : Clintonia udensis Trautv. & C.A.Mey.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나도옥잠화속 분포 : 일본, 중국, 러시아 / 한국(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깊.. 2018. 7. 19. 나도개감채 (20180606) 선봉령 습지를 가는 길에서 만난 나도개감채입니다. 식물명 : 나도개감채 학명 :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개감채속 분포 : 일본, 중국, 러시아 / 한국(경기도 남양주시; 강원도 양양군, 인제군,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 화천군; 경상북도 봉화군) 형태 : 여러해.. 2018. 7. 19. 쌍동바람꽃 (20180606) 선봉령 습지를 가는 길에서 만난 쌍동바람꽃입니다. 꽃줄기 끝에 꽃이 두 송이씩 피어 쌍동이란 이름을 얻은 모양입니다. 한 꽃대에 세 송이가 핀 모습도 보입니다. 식물명 : 쌍동바람꽃 학명 : Anemone rossii S.Moore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분포 : 강원도 이북.. 2018. 7. 18. 세바람꽃 (20180606) 선봉령 습지를 가는 길에서 만난 세바람꽃입니다. 한라산에서 보았던 세바람꽃을 백두산 자락에서 만나니 신기하고 많이 반가왔습니다. 식물명 : 세바람꽃 학명 : Anemone stolonifera Maxim.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분포 : 제주도 한라산 정상 부근에서 자란다. .. 2018. 7. 18. 바이칼바람꽃 (20180606) 선봉령 습지를 가는 길에서 만난 바이칼바람꽃입니다. 식물명 : 바이칼바람꽃 학명 : Anemone glabrata (Maxim.) Juz.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분포 : 중국, 러시아 / 한국(강원도 인제군)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가 8cm정도이다. 잎 : 근생엽은 1-2개로서 길이.. 2018. 7. 18. 나도바람꽃 (20180606) 선봉령 습지를 가는 길에서 만난 나도바람꽃입니다. 식물명 : 나도바람꽃 학명 : Enemion raddeanum Regel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나도바람꽃속 분포 : 한국(중.북부), 일본, 만주, 우수리, 아무르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의 음지 크기 : 높이는 20~30cm이다. 잎 .. 2018. 7. 18. 큰솔나리 (20180606) 절벽의 바위에 붉은색 꽃이 피었습니다. 잎이 솔잎을 닮은 큰솔나리입니다. 식물명 : 큰솔나리 학명 : Lilium tenuifolium Fisch.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백합속 분포 : 일본, 중국, 몽골 / 한국(충청북도 괴산군, 제천시, 충주시)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햇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다.. 2018. 7. 17. 원지 (20180605) 연변에서 백두산을 가는 길에서 만난 원지입니다. 식물명 : 원지 학명 : Polygala tenuifolia Willd. 분류 : 운향목 > 원지과 > 원지속 분포 : 중국 / 한국(경상북도 안동시, 영주시)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우리 나라 기후에 알맞은 식물로서 전국 각지에 재배된다. 토질은 겉흙이 깊고 .. 2018. 7. 17. 왕청가는 길 (20180604) 연변에서 왕청으로 가면서 본 풍경입니다. 들에서 일을 하는 사람들이 보입니다. 밭에 촘촘이 박힌 둥근 기둥은 목이버섯을 키우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2018년 6월 4일 연변에서 2018. 7. 17.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