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33

풍도바람꽃 녹화(20250313) 서해안의 꽃섬 풍도에서 본 풍도바람꽃 녹화입니다. 국명 : 풍도바람꽃 학명 :  Eranthis pungdoensis B. U. Oh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Eranthis 너도바람꽃속 분포 : 경기도 풍도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숲 그늘이나 개활지의 햇볕이 잘 드는 습윤한 지역에 자란다. 형태 : 덩이뿌리는 지름 1~2cm이다.            잎은 방사형으로 오각형에 가까운 원형, 3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폭 2~3cm이다.            꽃줄기는 뿌리에서 하나씩 나며, 길이 11~29cm다.            꽃은 꽃줄기 끝에 하나씩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1~1.9cm이다.            꽃받침은 5~10.. 2025. 3. 28.
풍도바람꽃 쌍두(20250313) 서해안의 꽃섬 풍도에서 본 풍도바람꽃입니다. 한 꽃대에 두 송이의 꽃이 달린 모습입니다. 국명 : 풍도바람꽃 학명 :  Eranthis pungdoensis B. U. Oh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Eranthis 너도바람꽃속 분포 : 경기도 풍도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숲 그늘이나 개활지의 햇볕이 잘 드는 습윤한 지역에 자란다. 형태 : 덩이뿌리는 지름 1~2cm이다.            잎은 방사형으로 오각형에 가까운 원형, 3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폭 2~3cm이다.            꽃줄기는 뿌리에서 하나씩 나며, 길이 11~29cm다.            꽃은 꽃줄기 끝에 하나씩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1~1.9cm이다... 2025. 3. 28.
풍도바람꽃 (20250313) 서해안의 꽃섬 풍도에서 본 풍도바람꽃입니다. 국명 : 풍도바람꽃 학명 :  Eranthis pungdoensis B. U. Oh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Eranthis 너도바람꽃속 분포 : 경기도 풍도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숲 그늘이나 개활지의 햇볕이 잘 드는 습윤한 지역에 자란다. 형태 : 덩이뿌리는 지름 1~2cm이다.            잎은 방사형으로 오각형에 가까운 원형, 3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폭 2~3cm이다.            꽃줄기는 뿌리에서 하나씩 나며, 길이 11~29cm다.            꽃은 꽃줄기 끝에 하나씩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1~1.9cm이다.            꽃받침은 5~10장이.. 2025. 3. 27.
흰꽃좀닭의장풀 (20220901) 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본 흰꽃좀닭의장풀입니다. 국명 : 흰꽃좀닭의장풀 학명 : Commelina coreana f. leucantha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닭의장풀목 > 닭의장풀과 > 닭의장풀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도, 전라남도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생태 : 산, 들, 모래땅, 습지 및 초원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5~50c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삭과이다. 형태 : 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곧추서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가지가 땅에 닿으면 뿌리가 돋기도 한다. 잎은 좁고 하면에 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3~10cm, 너비 1cm 정도의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아랫부분은 둥글며 갑자기 좁아져서 막질의 잎집과 이어지고 윗면은.. 2022. 12. 2.
큰엉겅퀴 (20220901) 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본 큰엉겅퀴입니다. 국명 : 큰엉겅퀴 학명 :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엉겅퀴속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 만주, 러시아 동시베리아 등에도 분포한다. 생태 : 들이나 야산, 강가 등 주로 낮은 지대에서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엉겅퀴 종류 중 가장 대형으로 높이 1~2m, 때로는 그 이상도 자란다. 원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세로줄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꼬리처럼 길며, 밑부분이 잎자루의 날개로 되고,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잎몸은 가장자리가 깃꼴로 갈라진다. 열편에는 결각상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2022. 12. 2.
통발 (20220901) 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본 통발입니다. 국명 : 통발 학명 : Utricularia japonica Makino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통발과 > 통발속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연못이나 늪 주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가 없이 물 위에 뜨는 벌레잡이식물이다. 형태 : 줄기는 길이 30~100cm다.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실 같이 갈라지며 길이 3~6cm이다. 갈래조각은 가시처럼 가늘며 일부는 벌레잡이통이 되어 작은 벌레를 잡는다. 꽃은 8~9월에 밝은 황색으로 피고, 물 위로 올라온 꽃대 끝에 이삭 모양으로 나와 4~7개의 꽃이 달린다. 꽃대는 길이 10~20cm이다. 꽃싸개잎은 비늘잎처럼 생기고 꽃부리는.. 2022. 12. 2.
질경이택사 (20220901) 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본 질경이택사입니다. 국명 : 질경이택사 학명 : Alisma orientale (Sam.) Juz.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택사목 > 택사과 > 택사속 분포 : 전국 네팔, 러시아, 몽골, 미얀마, 베트남, 인도, 일본, 중국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9월에 핀다. 형태 : 뿌리줄기는 짧고 수염뿌리가 많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잎자루는 길이 5~50cm, 밑부분은 잎집으로 된다. 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3~18cm, 폭 1~9c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맥은 5~7개다. 꽃은 흰색으로 피며, 길이 20~70cm인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포엽은 꽃차례 마디마다 3개씩 붙으며, 끝은 길게 뾰족하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 2022. 12. 2.
활나물 (20220901) 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본 활나물입니다. 국명 : 활나물 학명 : Crotalaria sessiliflora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콩목 > 콩과 > 활나물속 분포 : 전국 네팔, 부탄, 인도, 일본, 중국, 태국, 필리핀; 태평양 섬들 생태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7~9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위를 향한 긴 털이 나고, 높이 20~60cm다. 잎은 어긋나며, 홑잎,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길이 4~10cm, 폭 0.3~1.0cm, 가장자리에 털이 난다. 잎 앞면은 진한 녹색, 털이 없고, 뒷면은 긴 털이 난다.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2~20개씩 총상꽃차례로 피며, 보라색이다. 꽃자루는 짧고, 열매가 익을 때.. 2022. 12. 2.
진땅고추풀 (20220901) 경기도 연천군의 습지에서 본 진땅고추풀입니다. 국명 : 진땅고추풀 학명 : Deinostema violacea (Maxim.) T. Yamaz.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현삼과 > 진땅고추풀속 분포 : 경기도 이남 일본, 중국(만주) 생태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10~20cm,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아랫부분은 누워서 땅 위를 긴다. 잎은 마주나며,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7~10mm, 폭 2mm쯤이고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1.0~1.5cm이고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화관은 입술 모양이고 아랫입술의 가운.. 2022.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