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187

갯고들빼기 (20211023) 부산의 바닷가에서 본 갯고둘빼기입니다. 식물명 : 갯고들빼기 학명 : Crepidiastrum lanceolatum (Houtt.) Nakai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고들빼기속 분포 : 제주도와 다도해 도서지방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태 : 바닷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잎 : 잎은 주걱같은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5~15cm, 폭 1.2~4.5cm로서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로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윗부분의 잎은 달걀모양이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10-11월에 피고 황색이며 머리모양꽃차례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밑부분에 잎같은 포가 있으며 화경은 길이 3-10mm이다. 총포는 털이 없고 통형이며 길이 6-9mm, 나비 .. 2021. 12. 10.
양미역취 (20211020) 전북 부안의 바닷가에서 본 양미역취입니다. 식물명 : 양미역취 학명 : Solidago altissima L.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미역취속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 100-250㎝ 잎 : 잎은 어긋나기(互生) 잎차례로 촘촘히 달리며, 피침형(披針形)으로 길이 3-10㎝, 폭 3-14㎜, 3맥이 뚜렷하고 양 끝이 뾰족하며 상반부에 소수의 낮은 거치(鋸齒)가 있다. 아래쪽 잎은 짧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쪽은 잎자루가 없고, 잎 가장자리도 톱니가 없다. 꽃 : 꽃은 9-10월에 피며, 머리모양꽃차례는 높이 3.5-5㎜, 황색이고 옆으로 퍼지거나 아래를 향해 굽은 가지에 다수의 꽃이 편측적으로 피며 커다란 원뿔모양꽃차례(圓錐花序)를 이룬다. 총포(總苞)는 원통형(圓筒形)으로 높이 3-4㎜이.. 2021. 12. 9.
산국 (20211020) 전북 서해안의 바닷가에서 본 산국입니다. 식물명 : 산국 학명 :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산국속 형태 :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생태 : 산지의 숲 가장자리, 길가 잎 :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짧다. 줄기 아래쪽 잎은 넓은 난형, 길이 4-8cm, 폭 2-6cm, 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는 난형 또는 피침형,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양면은 짧은 털이 난다. 꽃 : 꽃은 9-11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모여서 산형꽃차례처럼 달리며, 노란색, 향기가 좋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1.5cm쯤이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길이 4mm쯤, 조각이 3-4줄로 붙는다.. 2021. 12. 8.
노랑선씀바귀 (20211019) 경남 함안의 연지에서 본 노랑선씀바귀입니다. 연못 주위에서 늦게 고운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노랑선씀바귀 학명 : Ixeris chinensis (Thunb.) Nakai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선씀바귀속 분포 : 한국, 일본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길가나 건조한 풀밭에 난다. 크기 : 높이 20~50cm이다.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로제트 형으로 퍼지고 거꿀피침모양 또는 도피침상 장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길이 8~24cm, 너비 5~15mm로서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입자루로 된다. 줄기잎은 1~2개로, 길이 1~4cm이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꽃.. 2021. 12. 6.
진득찰 (20211015) 통영시 근교의 야산에서 본 진득찰입니다. 식물명 : 진득찰 학명 :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 Makino 분류 : 국화과 진득찰속 분포 :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형태 : 한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인가 주변의 빈터나 밭 주변, 길가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40~100cm이다.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길고 길이 5~13cm, 폭 3.5~11cm로서 난상 삼각형이며 예두 절저이거나 엽병으로 흐르는 엽신과 더불어 예저이고 양면에 짧은 복모가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기부에 3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긴 타원형 또는 선형으로 되며 엽병이 없어진다. 꽃 :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과 .. 2021. 12. 3.
남구절초 (20211015) 경남 거제의 바닷가에서 본 남구절초입니다. 식물명 : 남구절초 학명 : Chrysanthemum zawadskii var. yezoense 분류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 형태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생태 : 섬과 바닷가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20∼50cm 잎 : 밑부분의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다. 밑은 수평이거나 심장 모양이고 줄기에 달린 잎은 주걱 모양이다. 넓은잎구절초와 비슷하지만 더 두꺼우며 겉면에 윤이 난다. 잎 끝은 얕게 갈라진다. 꽃 : 꽃은 설상화로서 9∼11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길이 약 2cm, 나비 약 5mm의 꽃이 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 개씩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총포조각은 줄 모양이다. 열매 :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약 2mm이다. 줄기 : 높이.. 2021. 12. 2.
해국 (20211014) 울산 등대가 있는 바닷가에서 본 해국입니다. 등대 아래서 해국이 곱게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식물명 : 해국 학명 : Aster spathulifolius Maxim. 분류 : 국화과 참취속 분포 : 제주도 및 전국 바닷가의 절벽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반목본성 초본 생태 : 암벽에서 자라나 일반 토양에서도 잘 자란다. 내한성이 약하여 내륙지방에서 월동이 불가능하며 음지보다는 양지에서 개화와 결실이 잘된다. 내건성과 환경내성이 강하고 해수에도 잘 견딘다. 크기 : 높이 30-6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밑부분의 것은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이고 주걱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며 둔두 예저이고 길이는 3~20cm, 폭은 1.5~5.5cm로서 잎 양면에 융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2021. 12. 2.
해국 (20211014) 울산의 바닷가에서 본 해국입니다. 바닷가 언덕에 해국이 풍성하게 피었습니다. 식물명 : 해국 학명 : Aster spathulifolius Maxim. 분류 : 국화과 참취속 분포 : 제주도 및 전국 바닷가의 절벽에 자생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형태 : 반목본성 초본 생태 : 암벽에서 자라나 일반 토양에서도 잘 자란다. 내한성이 약하여 내륙지방에서 월동이 불가능하며 음지보다는 양지에서 개화와 결실이 잘된다. 내건성과 환경내성이 강하고 해수에도 잘 견딘다. 크기 : 높이 30-6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밑부분의 것은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이고 주걱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이며 둔두 예저이고 길이는 3~20cm, 폭은 1.5~5.5cm로서 잎 양면에 융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몇 개의 큰 톱.. 2021. 12. 1.
사데풀 (20211014) 울산의 바닷가에서 본 사데풀입니다. 씨를 맺은 모습도 보였습니다. 식물명 : 사데풀 학명 : Sonchus brachyotus DC. 분류 : 국화과 방가지똥속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태 : 바닷가에 가까운 들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크기 : 높이 30-100cm이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어려서는 자홍색을 띠나 자라면서 회록색을 띤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줄기잎은 잎 사이가 짧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2-18cm, 나비 1-2.8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치아모양톱니가 있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떨어져 있으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이다.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지고 떨어져 .. 2021.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