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187

산솜방망이 (20210810) 강원도 높은 산의 숲속에서 본 산솜방망이입니다. 식물명 : 산솜방망이 학명 : Tephroseris flammea (Turcz. ex DC.) Holub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솜방망이속 분포 : 일본, 중국, 몽골 /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제주도) 형태 : 다년초본이다. 생태 : 햇볕이 잘드는 곳의 부엽이 많이 쌓인 비옥하고 습윤한 토양에서 자란다. 특별히 한라산의 표고 1,500m이상 지역에서 정상에 이르는 곳에 초장 30cm내외로 키가 일반 개체들에 비해 작은 왜성종이 분포한다. 잎 : 근생엽은 흔히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엽병이 길며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으며 짧은 털과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8-9cm, 나비.. 2021. 9. 10.
박쥐나물 (20210810) 강원도 높은 산의 숲속에서 본 박쥐나물입니다. 식물명 : 박쥐나물 학명 : Parasenecio auriculatus var. matsumurana Nakai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박쥐나물속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캄차카에 분포한다. 생태 : 깊은 산의 초원 크기 : 높이 1~2m이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근엽은 화시에 마르며 중부의 잎은 3각상 창모양 또는 3각상 콩팥모양으로 길이 25~35cm, 나비 30~40cm이고 끝은 짧게 뾰족하며 밑은 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잎은 길이 9~13cm로 보통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많은 머리모양꽃차례가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총포는 길이 1.. 2021. 9. 10.
산비장이 (20210810) 강원도 높은 산의 숲속에서 본 산비장이입니다. 식물명 : 산비장이 학명 : 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Iljin) Kitam.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산비장이속 분포 :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태 : 산지에서 자란다.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충분한 곳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는 30-140cm정도이다.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거나 남아 있고 난상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은 6-7쌍이며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주맥의 날개로 되고 백색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1-30cm이다. 줄기잎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점차 작아진.. 2021. 9. 9.
해바라기 (20210805) 경남 함안의 강주리 해바라기마을에서 본 해바라기입니다. 8월 5일에 찾아가니 해바라기가 지는 중이었습니다. 식물명 : 해바라기 학명 : Helianthus annuus L. 분류 : 국화과 해바라기속 분포 : 전국에서 식재한다. 형태 : 한해살이풀. 생태 : 우리 나라 기후에 알맞아 각지에 재배할 수 있다. 토질은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있는 과습지가 좋다. 크기 : 높이 2m 내외이다. 잎 : 잎은 대형이고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심장상 달걀모양 또는 타원상 넓은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로서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으며 3행맥이다. 꽃 : 꽃은 8~9월에 피며 지름 8-60cm로서 옆을 향해 달리고 가장자리의 혀꽃은 밝은 황색이며 중성이고 통상화(筒狀花)는 갈색 또는 황색이며 양.. 2021. 8. 30.
우산나물 (20210713) 경북 봉화군의 높은 고개에서 본 우산나물입니다. 줄기에 돌려난 잎이 우산 모습입니다. 식물명 : 우산나물 학명 :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분류 : 국화과 우산나물속 분포 : 전국의 야산에서부터 표고 1.000m씩 되는 고산지대까지 수림밑의 반그늘진 습한 곳에 군락을 이루며 자생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생육환경 : 낙엽수림 밑이나 북향의 경사지가 이상적이다. 습기있는 땅을 좋아하지만 물이 고이는 곳에서는 썩기 쉽고 겨울에는 얼기 쉬우므로 피한다. 크기 : 높이 70~120m 잎 : 첫째 잎은 둥글고 7-9개 장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지름 35-40(때로는 50정도)cm이고 열편은 흔히 2회 2개씩 갈라지며 호열편은 나비 2-3cm로서 끝이 뾰족하고 털이 있으나.. 2021. 8. 15.
당분취 (20210701) 경북의 높은 산에서 본 당분취입니다. 7월 첫날에 만난 당분취는 꽃봉오리가 나오는 모습만 보여주었습니다. 식물명 : 당분취 학명 : Saussurea tanakae Franch. & Sav. ex Maxim. 분류 : 국화과 취나물속 분포 :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태 : 산지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 50~100cm이다. 잎 : 근생엽은 개화시에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엽병이 있고 엽병은 길이 2.5~14cm로서 날개가 없으며 백색 털이 있고 엽신은 난상 3각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 8~10cm, 폭 6~11cm로서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윗부분의 입은 점차 작아지며 엽병에 날개가 있고 마침내 직접.. 2021. 8. 3.
박쥐나물 (20210701) 경북의 높은 산에서 본 박쥐나물입니다. 식물명 : 박쥐나물 학명 : Parasenecio auriculatus var. matsumurana Nakai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박쥐나물속 분포 :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캄차카에 분포한다. 생태 : 깊은 산의 초원 크기 : 높이 1~2m이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근엽은 화시에 마르며 중부의 잎은 3각상 창모양 또는 3각상 콩팥모양으로 길이 25~35cm, 나비 30~40cm이고 끝은 짧게 뾰족하며 밑은 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잎은 길이 9~13cm로 보통 날개가 있다. 꽃 :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많은 머리모양꽃차례가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총포는 길이 10~12.. 2021. 8. 1.
등골나물 (20210625) 강원도 속초의 바닷가 야산에서 본 등골나물입니다. 바닷가에서 자라서 그런지 잎에 윤기가 나고 색이 진하였습니다. 식물명 : 등골나물 학명 : Eupatorium japonicum Thunb.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등골나물속 분포 : 전국에 분포한다. 형태 :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생태 : 반그늘에서도 자라나 양지의 풀숲에서 자란다. 부식질이 많은 점질양토에서 자라나 습기가 있는 토양이면 어디서나 잘 자란다. 크기 : 높이가 2m에 달한다. 잎 :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18cm, 나비 3-8cm로서 밑부분에 길이 1-2mm의 비교적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2021. 7. 25.
서양톱풀 (20210617) 경남 합천군의 황매산에서 본 서양톱풀입니다. 억새 사이의 풀밭에서 줄기에 난 잎이 톱 모양이었습니다. 식물명 : 서양톱풀 학명 : Achillea millefolium L. 분류 : 국화과 톱풀속 분포 : 북미,아시아에 분포 관상용 및 약용으로 재배하던 것이 퍼져 야생화되었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 60~100cm이다. 잎 :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양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 : 6~9월에 개화하고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이며 머리모양꽃차례는 산방상으로 달리고 5개의 혀꽃은 암꽃으로서 옆으로 퍼지며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지고 관상화는 양성으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수과는.. 2021.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