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린초23

기린초 (20240604) 강원도 양구군 국립DMZ자생식물원에서 본 기린초입니다. 국명 : 기린초 학명 :  Sedum kamtschaticum Fisch. & C. A. Mey.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Crassulaceae 돌나물과 > Sedum 돌나물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 세포, 충북 속리산, 군자산, 월악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생태 :  깊은 산지 숲속의 축축한 바위틈이나 겉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높이 20cm에 달하고, 뿌리줄기는 끝이 목질화되며,           줄기는 많이 가늘어 연약하고 많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고, 줄기 아래쪽으로 점차 작아져 비늘조각 모양으로 되며,          잎자루는 길이 2~3mm.. 2025. 2. 22.
고산개미취(Aster alpinus L.) 흰꽃 외 - 차강호 풍혈지에서 (20240628) 차강호를 나오면서 풍혈지에 들렸습니다. 풍혈지 가는 길에 바위가 많았습니다. 바위 사이에 고산개미취(Aster alpinus L.)가 피었습니다. 흰색 꽃을 피운 고산개미취도 보았습니다.       바위 위에 붉은색 줄기에 노란색 꽃을 피운 기린초가 있습니다. 점나도나물 비슷한 식물이 무더기를 이루고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털이 많아 북선점나도나물(Cerastium rubescens?Mattf. var.?koreanum?(Nakai) Miki)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풍혈지는 상당히 깊었습니다. 아래쪽에서 여름에 차가운 바람이 나온다고 하였습니다.   풍혈지를 내려다보고 돌꽃이 피었습니다.이름이 궁금한 산형과 식물이 이곳에도 있었습니다.풍혈지를 돌아보고 나오다가 시베리아매자나무(Berberis sibi.. 2024. 9. 28.
송이풀속(Pedicularis comosa L.) 외 - 차강호 호르구 분화구 아레에서 (20240627) 호르구 분화구에 내려와서 주변을 돌아보았습니다.풀밭에 만주송이풀과 비슷한 미색의 꽃을 피운 송이풀(Pedicularis comosa L.)이 있습니다.     기린초가 무리지어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솜다리속(Leontopodium ochroleucum)도 무리를 지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관모개미자리(Eremogone capillaris (Poir.) Fenzl)가 바위에 자리를 잡고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바위 주변에 노란색 꽃을 피운 국화과 식물을 보았습니다. 나도민들레(Crepis tectprum L.)로 보입니다.     바위솜나물(Tephroseris phaeantha (Nakai) C.Jeffrey &Y.L.Chen)도 보았습니다.  고산개미취와 관모개미자리가 어울려서 꽃을 피우고 있.. 2024. 9. 18.
넓은잎까치밥나무(Ribes latifolium Jancz.) 외 - 차강호 호르구 분화구에서 내려오면서 (20240627) 분화구를 보고 하산을 하였습니다. 넓은잎까치밥나무(Ribes latifolium Jancz.)도 보았습니다. 열매를 달고 있습니다.     조팝나무는 꽃이 졌고 으아리속 식물도 꽃이 진 모습이 보였습니다.  돌 사이에서 왜지치 비슷한 지치과 식물을 보았습니다.    분화구 중턱에도 시베리아매자나무(Berberis sibirica Pall.)가 열매를 달고 있었습니다.   분화구 주변에서도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 & C. A. Mey.)를 보았습니다.    좀낭아초(Chamaerhodos erecta (L.) Bunge)도 보았습니다.   아래쪽에서 보았던 야생 파도 또 만났습니다.   장구채도 피었습니다. 돌꽃도 보았습니다.    은빛으로 보이는 쑥도 보았습니다.    들.. 2024. 9. 15.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 &C. A. Mey.) 외 - 차강호 호르구 분화구 아래에서 (20240627) 아침 식사를 하고 차강호 옆의 호르구 분화구에 갔습니다. 화산이 분출하고 생긴 분화구가 있어 관광도 많이 오는 곳이라고 하였습니다. 분화구를 오르는 입구에 가면서 식물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붉은색 줄기와 붉은색 잎에 노란색 꽃이 곱습니다.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Fisch. &C. A. Mey.)입니다.    삼각갯길경(Goniolimon speciosum)이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바위 위에 관모개미자리(Eremogone capillaris (Poir.) Fenzl)가 자리하고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솔나물도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애기솔나물(Galium verum var. asiaticum f. pusillum)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솔나물이 핀 뒤로 멋진 소나무가 있습니.. 2024. 9. 12.
광릉골무꽃 외 - 황매산에서 (20230610) 지난 2023년 6월에 경상남도 합천군의 황매산에서 본 광릉골무꽃입니다. 국명 : 광릉골무꽃 학명 : Scutellaria insignis Nakai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Scutellaria 골무꽃속 분포 : 한국 광릉, 북한산, 조계산, 모후산, 만덕산, 남고산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6월에 핀다. 형태 : 다년초로 근경이 옆으로 길게 자라며 줄기는 곧추서고 모가 지며 능선에 털이 있고 높이 40~70cm이다.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4~10cm, 너비 1.25~4.5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둔하며 가장자리에는 굵은 톱니가 있고 표면에만 털이 약간 있으며 엽병은 짧다.. 2024. 1. 11.
기린초 (20220706) 강원도 정선군의 높은 고개에서 본 기린초입니다. 나비가 날아와서 놀고 있습니다. 국명 : 기린초 학명 : Sedum kamtschaticum Fisch. & C. A. Mey.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돌나물과 > 돌나물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 세포, 충북 속리산, 군자산, 월악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생태 : 깊은 산지 숲속의 축축한 바위틈이나 겉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높이 20cm에 달하고, 뿌리줄기는 끝이 목질화되며, 줄기는 많이 가늘어 연약하고 많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고, 줄기 아래쪽으로 점차 작아져 비늘조각 모양으로 되며, 잎자루는 길이 2~3mm이다. 잎몸은 긴 도란형이거나 주걱형으로 길이 2.5~3.5cm이며, 잎 가장자리 상부에 .. 2022. 9. 4.
기린초 (20220702) 경북 영양군의 높은 산에서 본 기린초입니다. 기린초 꽃에 나비가 날아와서 놀고 있습니다. 국명 : 기린초 학명 : Sedum kamtschaticum Fisch. & C. A. Mey.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돌나물과 > 돌나물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 세포, 충북 속리산, 군자산, 월악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생태 : 깊은 산지 숲속의 축축한 바위틈이나 겉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높이 20cm에 달하고, 뿌리줄기는 끝이 목질화되며, 줄기는 많이 가늘어 연약하고 많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고, 줄기 아래쪽으로 점차 작아져 비늘조각 모양으로 되며, 잎자루는 길이 2~3mm이다. 잎몸은 긴 도란형이거나 주걱형으로 길이 2.5~3.5cm이며, 잎 가장자리.. 2022. 8. 29.
반지련 외 - 유목촌에서 본 들꽃 (20180702) 말을 타려고 유목촌을 향했습니다. 골짜기 안의 나무가 울창한 곳에 게르가 있었습니다. 일행 중에 일부는 말을 타고 나갔습니다. 꽃을 보려는 일행들은 풀밭에서 꽃을 찾아 헤매었습니다. 이곳에도 참골무꽃을 닮은 개체가 보입니다. 하지만 참골무꽃은 아닌 것 같았습니다. 꽃을 찾는 우리를 이상하게 여긴 개가 나왔다가 모델이 되어 주었습니다. 중국에서 반지련이라 불리우는 골무꽃입니다. 기린초입니다. 우리나라 곳곳에 자라는 기린초와 같았습니다. 냉이의 종류로 보이는 작은 개체도 보았습니다. 꽃은 냉이가 분명한데 잎이 처음 보는 모습입니다. 달구지풀도 만났습니다. 게르 주변으로 두메양귀비가 제법 보였습니다. 물가에서 본 노란색 꽃입니다. 개구리미나리와 비슷한 것 같은데 이름은 모릅니다. 뱀무입니다. 솜다리를 만났습니.. 2018.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