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해시10

수정난풀 (20220904) 경상남도 김해시의 계곡에서 본 수정난풀입니다. 국명 : 수정난풀 학명 : Monotropa uniflora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진달래목 > 수정난풀과 > 수정난풀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러시아 사할린 등 동아시아, 북미, 인도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숲속 나무 그늘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부생식물이다. 형태 : 줄기는 여러 대가 덩어리 같이 생긴 뿌리에서 곧추서 모여나며, 높이 8~15cm이고 엽록소가 없기 때문에 뿌리 이외에는 순백색이다. 퇴화된 잎은 어긋나며, 비늘처럼 생긴 긴 타원형, 길이 1~2cm, 폭 5~8mm, 가장자리는 둥글다. 꽃은 5~8월에 피는데 2cm 정도의 종 모양으로 줄기 끝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은백색이다. 꽃받침조.. 2022. 12. 4.
뻐꾹나리 흰꽃 (20220904) 경상남도 김해시 야산 계곡에서 본 뻐꾹나리입니다. 흰색 꽃을 피운 모습이 무척 깨끗하였습니다. 국명 : 뻐꾹나리 학명 : Tricyrtis macropoda Miq.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뻐꾹나리속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숲속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땅속줄기는 곧고 길게 자라며,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c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5~51cm, 폭 2~7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흰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꽃자루는 짧으며, 겉에는.. 2022. 12. 4.
뻐꾹나리 (20220904)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계곡에서 본 뻐꾹나리입니다. 국명 : 뻐꾹나리 학명 : Tricyrtis macropoda Miq.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뻐꾹나리속 분포 :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의 숲속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땅속줄기는 곧고 길게 자라며,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c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5~51cm, 폭 2~7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흰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꽃자루는 짧으며, 겉에는 짧은 털이 난다. 화피는 6장이며 2줄로 붙고.. 2022. 12. 4.
대흥란 (20220719) 경남 김해시의 계곡에서 본 대흥란입니다. 임도 변에서 무리로 꽃을 피운 대흥란을 보았습니다. 국명 : 대흥란 학명 : Cymbidium macrorhizon Lindl.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보춘화속 지정관리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분포 : 국내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 일대를 비롯하여 삼척까지 분포한다. 중부지방에는 극소수가 생육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인도 북부, 라오스, 미얀마, 네팔, 파키스탄, 대만에 분포한다. 생태 : 부생식물로 부식질이 많은 숲속에서 산다. 제주도에서는 어두운 상록수 숲속에서 살지만 위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해송 숲 등 해가 드는 곳에서 살기도 한다. 내장산에서는 해발 500m 정도의 비탈진 산지 숲속에 산다. 7~8월경.. 2022. 9. 16.
노루오줌 (20220719) 경남 김해시의 계곡에서 본 노루오줌입니다. 폭포 옆에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노루오줌 학명 : Astilbe rubra Hook. f. & Thomson ex Hook. f.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범의귀과 > 노루오줌속 분포 : 전국 중국, 일본 쓰시마섬, 러시아 동북부, 인디아 생태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7월에 핀다. 전국의 산에 비교적 흔하게 자란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70cm다. 뿌리잎은 2회 3출 또는 드물게 3회 3출하고, 잎자루가 길다. 끝에 붙은 작은 잎은 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길이 3~6cm, 폭 2~4cm다. 줄기잎은 어긋난다. 꽃은 꽃줄기 위쪽에 발달하는 길이 15~20cm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분홍색이지만 변이가 심.. 2022. 9. 16.
망태말뚝버섯 (20220719) 경남 김해시의 대나무 밭에서 본 망태말뚝버섯입니다. 흰망사를 치마처럼 두르고 있습니다. 버섯명 : 망태말뚝버섯 학명 : Phallus indusiatus Vent. 분류 : 말뚝버섯목 > 말뚝버섯과 > 말뚝버섯속 분포 : 속리산, 치악산, 울릉도, 홍천 발생시기 : 여름 군락형태 : 침엽수림, 활엽수림 내 정원, 아카시아 숲의 땅 위에 단생 또는 군생 자실체형태 : 갓은 종형이고, 갓아래 균망이 형성 자실층 : 머리부분에 암록색의 기본체가 있으며 악취가 난다. 버섯대 : 백색이며, 무수한 홈 반점이 있음, 기부에 젤라틴질의 대주머니가 있다.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버섯 2022년 7월 19일 경남 김해시의 대나무 밭에서 2022.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