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시83

곤줄박이 (20221119) 대구시 대구수목원에서 본 곤줄박이입니다. 도자기에 날아와서 주변을 살피고는 도자기에 놓아둔 잣을 챙겨서 어디론가 날아갑니다. 아마 잣을 어딘가에 숨기러 가는 것 같습니다. 2022년 11월 19일 대구시 대구수목원에서 2022. 12. 4.
밀화부리 (20221119) 대구시 대구수목원에서 본 밀화부리입니다. 2022년 11월 19일 대구시 대구수목원에서 2022. 12. 4.
대구수목원 국화 축제 (20221119) 대구시 대구수목원에 갔습니다. 수목원을 들어서니 국화 향기가 가득하였습니다. 국화축제가 진행 중으로 뜰에 국화가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2022년 11월 19일 대구시 대구수목원에서 2022. 12. 2.
부전제비고깔 (20220826) 대구시 근교의 높은 산 사찰 주변에서 본 부전제비고깔입니다. 식물명 : 부전제비고깔 학명 : Delphinium maackianum var. lasiophyllum Nakai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제비고깔속 분포 : 경기도 이북의 산록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 1m에 달한다.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단풍잎같이 3-7개로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길며 크지만 중앙부의 것은 엽병의 길이가 5cm정도이고 털이 많으며 엽신은 길이 9cm, 폭 12cm이다. 꽃 : 개화기는 7-8월로 원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보라색 꽃이 핀다. 포는 잎같고 작은포는 꽃자루의 중앙부에 달리며 막질이고 꽃자루는 꽃대축의 윗부분과 .. 2022. 11. 25.
주름조개풀 (20220826) 대구시 근교의 높은 산 사찰 주변에서 본 주름조개풀입니다. 국명 : 주름조개풀 학명 :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Roem. & Schult. 분류 : 피자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벼과 > 주름조개풀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유라시아의 온대, 난대 및 열대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 그늘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0~30cm 정도이다.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형태 : 줄기 밑부분은 옆으로 기면서 길게 뻗으면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어긋나며 2줄로 배열되고, 아랫부분은 줄기를 감싸듯 하며, 편평하다. 잎자루 및 꽃차례는 털이 있다. 잎혀는 매우 짧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가지가 갈라지며 작은이삭이 밀착한다. 작은.. 2022. 11. 25.
털이슬 (20220826) 대구시 근교의 높은 산 사찰 주변에서 본 털이슬입니다. 국명 : 털이슬 학명 : Circaea mollis Siebold & Zucc.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도금양목 > 바늘꽃과 > 털이슬속 분포 :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 등에 분포한다. 생태 : 산지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40~60cm 정도이다. 형태 :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전체에 굽은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굵으며 마디 사이의 밑부분에 다소 흑갈색이 돌고 넓은 피침형, 밑부분은 뾰족하거나 둥글고, 끝은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잔털이 있다. 꽃은 8월에 피며 총상꽃차례는 꽃이 핀 다음 자란다. 꽃받침잎은 2개, 녹색이다. 꽃잎도 2개, 백색.. 2022. 11. 25.
오이풀 (20220826) 대구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오이풀입니다. 국명 : 오이풀 학명 : Sanguisorba officinalis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오이풀속 분포 : 전국 유럽,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9월에 핀다.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란다. 형태 : 뿌리줄기는 굵으며, 방추형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50cm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13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뿌리잎은 여러 장, 잎자루가 길고, 작은 잎에 6~30mm의 자루가 있으며, 보통 턱잎이 있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 길이 3~5cm, 폭 1~4cm, 끝이 둥글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 윤이 난다. 꽃은 이삭꽃차례로 빽빽하.. 2022. 11. 24.
조밥나물 (20220826) 대구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조밥나물입니다. 국명 : 조밥나물 학명 : Hieracium umbellatum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조밥나물속 분포 : 전국 북반구 온대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열매는 9~11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20cm, 위쪽에 짧은 털과 별모양털이 많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선형, 길이 4~12cm, 폭 0.5~1.2cm,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잎자루는 짧거나 없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 또는 원추꽃차례처럼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대는 길이 2~5cm이다. 머리모양꽃.. 2022. 11. 24.
큰산좁쌀풀 (20220826) 대구시 근교의 높은 산에서 본 큰산좁쌀풀입니다. 큰명 : 큰산좁쌀풀 학명 : Euphrasia hirtella Jord. ex Reut.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현삼목 > 현삼과 > 좁쌀풀속 분포 : 북부지방 중앙아시아, 유럽 생태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40cm, 위쪽에서 때로 가지를 치고, 전체에 샘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위로 갈수록 점차 커진다. 잎몸은 난형,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에 6~8쌍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흰 털과 샘털이 있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흰색으로 피며,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길이 4~5mm, 4갈래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피침형, 끝은 뾰족하고, 겉에 샘털이.. 2022.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