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판10 재두루미 무리 비행 2 - 주남지에서 (20250123) 창원 주남지 들판에 재두리미가 무리를 지어 날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23일 창원 주남지에서 2025. 2. 17. 주남들의 재두루미 - 주남지에서 (20250123) 창원 주남지 들판에 재두루미가 놀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23일 창원 주남지에서 2025. 2. 12. 주남들의 재두루미 - 주남지에서 (20250116) 창원 주남지 들판에 재두루미가 놀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16일 창원 주남지에서 2025. 2. 6. 양장구채 (20240418) 제주도 들판에서 본 양장구채입니다. 국명 : 양장구채 학명 : Silene gallica L.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Caryophyllaceae 석죽과 > Silene 끈끈이장구채속 분포 : 제주도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 원산이지만, 세계 온대지방에 잡초로 귀화하여 자란다. 생태 :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7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높이 40-50cm이다. 가지는 길고 꼬부라진 털과 짧은 샘털로 덮인다. 잎은 마주나며, 주걱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길이 1.5-4.0cm, 너비 2-8m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양면은 털이 있다. .. 2024. 6. 8. 개쑥갓 (20221113) 부산 둔치도에서 본 개쑥갓입니다. 국명 : 개쑥갓 학명 : Senecio vulgaris L. 분류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Senecio 금방망이속 분포 : 전국 유럽 생태 :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5~8월에 핀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0~40cm, 가지가 갈라지며, 붉은색이 돈다. 잎은 어긋나며, 가죽질이며, 길이 3~5cm, 폭 1.0~2.5cm, 깃꼴로 갈라지거나 물결 모양의 깊은 톱니가 있다. 갈래조각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밑은 좁아져 약간 줄기를 감싼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산방상으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혀모양꽃은 없다. 모인.. 2023. 2. 7. 유럽점나도나물 (20221113) 부산 둔치도에서 본 유럽점나도나물입니다. 국명 : 유럽점나도나물 학명 : Cerastium glomeratum Thuill. 국명이명 : 양점나도나물 분류 :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Caryophyllales 석죽목 > Caryophyllaceae 석죽과 > Cerastium 점나도나물속 분포 : 전국 전 세계 생태 :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6월에 피고, 열매는 5~7월에 익는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0~30cm,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다 곧추서며, 윗부분에 점질의 털이 빽빽하게 난다. 뿌리잎은 주걱형으로 길이 1~2cm다. 줄기잎은 도란상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5~25mm, 폭 5~10mm, 밑은 길게 뾰족해져 짧은 잎자루가 된다. 꽃은 흰색으로 줄기 또는 잎겨.. 2023. 2. 7. 주남들의 재두루미 1 (20230111) 2023년 1월 11일에 주남지에 갔습니다. 새해를 맞고서도 날이 추워서 나가지를 않고 있다가 영상의 기온으로 오른 뒤에 주남지에 가니 재두루미들이 주남들에 놀고 있었습니다. 2023년 1월 11일 창원 주남지의 들에서 2023. 2. 7. 주남들의 재두루미 (20201029) 주남지에 재두루미가 날아왔습니다. 10월 29일에 찾은 주남지에서 재두루미 30 여 마리를 보았습니다. 들에서 부지런히 먹이를 먹고 있습니다. 올 겨울을 이곳 주남지에서 잘 지내면 좋겠습니다. 2020년 10월 29일 창원 주남지에서 2020. 12. 3. 앙카라에서 카파토키아로 가는 길에(20140323) 여행 3일째 아침을 맞았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호텔의 창문을 통하여 내다보니 작은 산이 집들로 덮였습니다. 식사를 하기 전에 호텔 주변을 돌아보았습니다. 우리가 묵은 호텔이 높습니다.. 앙카라의 건물들이 아침 햇살을 받아 잠에서 깨어나고 있습니다. 오늘도 먼길을 가야하기에 이.. 2014. 4.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