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만주바람꽃42

만주바람꽃 (20250323) 경남 함안군의 야산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국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Isopyrum 만주바람꽃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덕항산, 전라남도 백암산, 경상남도 와룡산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데, 여기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주렁주렁 달린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에서 난 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짧고.. 2025. 4. 12.
만주바람꽃 (20240317) 경남 고성군의 야산 자락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국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Isopyrum 만주바람꽃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덕항산, 전라남도 백암산, 경상남도 와룡산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데, 여기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주렁주렁 달린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에서 난 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짧고, 3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연한 녹색이지만 붉은빛을 띠기도 한다. 꽃은 3~5월.. 2024. 4. 5.
만주바람꽃 (20240302) 경남 함안군의 야산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꽃샘추위에 상하여 안타까운 모습이었습니다. 국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Isopyrum 만주바람꽃속 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덕항산, 전라남도 백암산, 경상남도 와룡산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데, 여기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주렁주렁 달린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에서 난 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짧고, 3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연한 녹색이지만.. 2024. 3. 18.
만주바람꽃 (20240224) 전남 순천시 근교의 야산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날이 흐려서 꽃이 활짝 피지를 않아 아쉬웠습니다. 국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Isopyrum 만주바람꽃속 분포 : 강원도 덕항산, 전라남도 백암산, 경상남도 와룡산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데, 여기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주렁주렁 달린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에서 난 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짧고, 3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연한 녹색이지만 붉.. 2024. 3. 12.
만주바람꽃 (20230321) 지난 봄에 경남 고성군의 야산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국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Isopyrum 만주바람꽃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덕항산, 전라남도 백암산, 경상남도 와룡산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데, 여기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주렁주렁 달린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에서 난 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짧고, 3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연한 녹색이지.. 2023. 11. 14.
만주바람꽃 (20230309) 함안군의 야산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돌 사이에서 옹기종기 모여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분류 : 목련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Isopyrum 만주바람꽃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덕항산, 전라남도 백암산, 경상남도 와룡산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데, 여기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주렁주렁 달린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에서 난 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2023. 3. 23.
만주바람꽃 (20230308) 함안군의 야산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돌 사이에서 옹기종기 모여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국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분류 : 목련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Isopyrum 만주바람꽃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덕항산, 전라남도 백암산, 경상남도 와룡산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데, 여기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주렁주렁 달린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에서 난 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2023. 3. 17.
현호색 (20220315) 경남 함안군의 야산에서 본 현호색입니다. 만주바람꽃을 보러 간 계곡에서 꽃을 피우고 있는 현호색을 보았습니다. 국명 : 현호색 학명 :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분류 : 피자식물문 >목련강 > 양귀비목 > 현호색과 > 현호색속 분포 : 전국 /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일본, 중국(동북부) 생태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형태 : 덩이줄기는 둥글고 지름 2.5cm쯤이다. 줄기는 연하고 곧게 자라며 높이 20cm쯤이다. 줄기 아래쪽에 비늘잎이 1장 있고, 겨드랑이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며 2~3회 3갈래로 갈라지고, 최종 갈래는 긴 타원상 선형으로 크기가 다양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줄기나 가지 끝에서.. 2022. 4. 7.
만주바람꽃 (20220315) 경남 함안군의 야산 계곡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5일 전에 노루귀를 보러 왔을 때는 제대로 보이지 않았던 만주바람꽃이 곳곳에서 꽃을 활짝 피우고 반겨주었습니다. 국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만주바람꽃속 분포 :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강원도 덕항산, 전라남도 백암산, 경상남도 와룡산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생태 : 높은 산 계곡 주변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형태 : 줄기는 높이 15~20cm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데, 여기에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주렁주렁 달린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2번 3갈래로 갈라진다. 줄기에서 난 잎은 2.. 2022.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