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나리아재비과230

나도바람꽃 (20210424) 경북 영천의 높은 산에서 본 나도바람꽃입니다. 줄기 끝에서 흰색 꽃이 산형을 이루며 피었습니다. 식물명 : 나도바람꽃 학명 : Enemion raddeanum Regel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나도바람꽃속 분포 : 한국(중.북부), 일본, 만주, 우수리, 아무르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산지의 음지 크기 : 높이는 20~30cm이다. 잎 : 근생엽이 모여나기하며, 긴 엽병이 있고, 3출엽이다. 소엽은 달걀모양이고 3개로 열편, 결각상 열편, 뒷면은 분백색이며 짧은 털이 있다. 줄기잎은 엽병이 짧아진다. 꽃 : 꽃대 밑부분에 막질의 초상엽이 있고 중앙 윗부분에 1개의 잎이 달린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포는 줄기잎의 소엽과 비슷하고 꽃자루는 길이 3cm로서 원줄기 끝.. 2021. 5. 24.
섬노루귀 녹화 (20210409) 울릉도 나리분지에서 본 섬노루귀 녹화입니다. 섬노루귀가 무리지어 핀 곳에서 잎자루와 꽃대가 녹색인 모습을 만났습니다. 꽃대가 갈색인 섬노루귀가 주변에 있어 녹색의 꽃대에 털이 보송보송하게 난 모습이 여간 곱지가 않았습니다. 이래서 잎자루와 꽃대가 녹색인 섬노루귀를 녹화라고 하는 모양입니다. 식물명 : 섬노루귀 학명 : Hepatica maxima (Nakai) Nakai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한국(경상북도 울릉군)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숲속에서 자란다. 잎 :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 사방으로 퍼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큰 것은 길이 8cm, 폭 15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열편은 난상 원.. 2021. 5. 16.
섬노루귀 (20210409) 울릉도 나리분지에서 본 섬노루귀입니다. 나리분지의 숲속에는 곳곳에서 섬노루귀가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숲속을 들어가서 만난 섬노루귀는 잎도 풍성하였습니다. 꽃이 지는 중이라 많이 아쉬웠습니다. 식물명 : 섬노루귀 학명 : Hepatica maxima (Nakai) Nakai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한국(경상북도 울릉군)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숲속에서 자란다. 잎 : 잎은 모두 뿌리에서 돋아 사방으로 퍼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큰 것은 길이 8cm, 폭 15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채가 있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열편은 난상 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가장자리는 서로 겹쳐지고 뒷면과 더불어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14-28cm.. 2021. 5. 16.
노루귀 청색 (20210326) 경북 의성의 야산에서 본 청색 꽃을 피운 노루귀입니다. 2주일 전에 찾아서 노루귀를 보았는데 깽깽이풀을 보러 다시 가니 늦게 피어난 노루귀들이 제법 많았습니다. 식물명 :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각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10cm 정도 된다. 잎 : 잎은 길이 5cm정도로서 모두 뿌리에서 돋고 긴 엽병이 있어 사방으로 퍼지며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밋밋하다. 중앙열편은 삼각형이며 양쪽 열편과 더불어 끝이 뾰족하고 이른 봄 잎이 나올 때는 말려서 나오며 뒷면에 털이 돋은 모습이 마치 노루 귀와 같다. 꽃 : 꽃은 4월에 아직.. 2021. 4. 26.
노루귀 변이 (20210326) 경북 의성의 야산에서 본 노루귀입니다. 청색 꽃을 피우는 청노루귀들인데 꽃이 조금씩 다른 모습이라 눈에 띄었습니다. 식물명 : 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Nakai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분포 :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각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10cm 정도 된다. 잎 : 잎은 길이 5cm정도로서 모두 뿌리에서 돋고 긴 엽병이 있어 사방으로 퍼지며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지며 밋밋하다. 중앙열편은 삼각형이며 양쪽 열편과 더불어 끝이 뾰족하고 이른 봄 잎이 나올 때는 말려서 나오며 뒷면에 털이 돋은 모습이 마치 노루귀와 같다. 꽃 : 꽃은 4월에 아직 잎이 나오기 전에 피며 지름 1.5cm정도로서.. 2021. 4. 26.
동강할미꽃 (20210323) 강원도 정선의 동강에서 만난 동강할미꽃입니다. 3월이면 동강을 찾아가는 것이 연례행사가 되었습니다. 동강변에 가야 만날 수 있는 동강할미꽃을 올해도 3월 23일에 가서 만났습니다. 올해도 동강할미꽃은 곱게 피어났지만 동강할미꽃은 지난해 홍수로 많이 상하여 개체수가 줄고 풍성하지도 않았습니다. 강변의 나무에도 홍수가 얼마나 심하였는지를 알려주듯 비닐과 마른 풀들이 나무에 걸려 있었습니다. 식물명 : 동강할미꽃 학명 : Pulsatilla tongkangensis Y.N.Lee & T.C.Lee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할미꽃속 분포 : 한국(강원도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정선군)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강원도 정선, 영월(동강), 삼척의 석회암 바위 크기 : 높이는 꽃이 .. 2021. 4. 16.
들바람꽃 (20210317) 경기도 가평의 야산 계곡에서 만난 들바람꽃입니다. 남쪽에서는 자생지가 없어 늘 애를 태우는 들바람꽃인데 3월 중순이 되니 들바람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4시간이 걸리는 거리인지라 새벽에 출발을 하여 달려갔습니다. 계곡 옆의 돌이 많은 곳에 돌 사이에서 분홍빛이 은근히 느껴지는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고운 모습을 만나서 반가왔지만 먼 길을 달려갔는데 개체수가 많지 않아서 아쉬웠습니다. 식물명 : 들바람꽃 학명 : Anemone amurensis (Korsh.) Kom.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분포 : 우리나라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크기 : 높이가 15cm정도로 자란다. 잎 : 근생엽은 1-2개.. 2021. 4. 7.
꿩의바람꽃 (20210316) 창원 근교의 야산에서 본 꿩의바람꽃입니다. 얼레지와 어울려서 고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꽃술이 보기 좋았습니다. 식물명 : 꿩의바람꽃 학명 : Anemone raddeana Regel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분포 : 전국의 높은 산 습기가 많은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에도 분포한다. 크기 : 꽃대는 높이가 15-20cm 이다. 잎 : 근생엽은 꽃이 쓰러진 다음 자라며 길이 4-15cm의 엽병이 있고 이회삼출겹잎이며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성글게 있고 총포조각은 3개이며 짧은 엽병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5mm, 폭 5-15mm로서 끝이 둔하고 윗부분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지고 털이 없거나 기부에.. 2021. 4. 5.
만주바람꽃 (20210316) 경남 창원 근교의 야산에서 본 만주바람꽃입니다. 얼레지와 꿩의바람꽃과 어울려서 꽃을 피우고 있었습니다. 식물명 :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Kom.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만주바람꽃속 분포 : 중국 / 한국(경기도 광주시, 남양주시, 연천군; 강원도 평창군, 화천군)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 20cm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밑부분이 백색 막질로서 넓으며 2회 3출이고 소엽은 어린 `개구리발톱` 잎과 닮았다. 줄기잎은 2-3개이고 짧은 엽병끝에서 3개로 갈라지며 엽병밑에 둥근 포가 2장 있고 소엽은 작은잎자루가 있으며 1-2회 3출엽이고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은 분백색으로서 백색의 짧고 연한.. 2021. 4. 5.